챗GPT 사용자 중 54.2% "만족" 응답
직업 및 일자리 축소, 개인정보 노출 우려도
![[서울=뉴시스] '대한민국 직장인 생성형 AI 활용 현황' 조사 결과. (사진=나우앤서베이 제공) 2023.06.14.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6/14/NISI20230614_0001289919_web.jpg?rnd=20230614153833)
[서울=뉴시스] '대한민국 직장인 생성형 AI 활용 현황' 조사 결과. (사진=나우앤서베이 제공) 2023.06.1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이수정 기자 =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챗GPT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사용해본 적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5일 나우앤서베이가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전국 직장인 패널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한민국 직장인 생성형 AI 이용 현황' 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 사용 경험 유무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3.9%가 사용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은 플랫폼은 챗GPT였다. 특히 일주일에 하루 이상 이용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챗GPT가 45.7%로 가장 높았고, 구글 바드가 26.4%, MS 빙이 25.1%로 뒤를 이었다.
만족도 역시 챗GPT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챗GPT 사용자 중 54.2%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구글 바드 사용자는 45.9%, MS 빙 사용자는 43.3%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생성형 AI의 활용 만족도가 높았던 분야는 정보 검색으로, 29.1%를 차지했으며 데이터 요약·분석 25.5%, 외국어 번역 10.5% 등이 뒤를 이었다.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이러한 생성형 AI 서비스 출시가 카카오, 다음 등 국내 플랫폼 기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본인이 속한 회사 역시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1.3%를 차지했다.
회사에서 생성형 AI 플랫폼을 권장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37.0%가 '그렇다'고 답했다. 생성형 AI를 사용해 사람을 대체하거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업무로는 관리 업무가 30.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고객 상담과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등이 꼽혔다.
하지만 사용 경험만큼이나 생성형 AI 서비스로 인한 직업 및 일자리 축소 등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20.6%의 응답자가 직업 및 일자리 축소를 우려했으며, 19.1%는 개인정보와 영업비밀의 노출 위험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 제공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도 있었다. 사용자들이 생성형 AI 사용시에 가장 불편하다고 느낀 점은 동문서답, 사실과 다른 답변, 출처와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 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crystal@newsis.com
15일 나우앤서베이가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전국 직장인 패널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한민국 직장인 생성형 AI 이용 현황' 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 사용 경험 유무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3.9%가 사용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은 플랫폼은 챗GPT였다. 특히 일주일에 하루 이상 이용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챗GPT가 45.7%로 가장 높았고, 구글 바드가 26.4%, MS 빙이 25.1%로 뒤를 이었다.
만족도 역시 챗GPT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챗GPT 사용자 중 54.2%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구글 바드 사용자는 45.9%, MS 빙 사용자는 43.3%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생성형 AI의 활용 만족도가 높았던 분야는 정보 검색으로, 29.1%를 차지했으며 데이터 요약·분석 25.5%, 외국어 번역 10.5% 등이 뒤를 이었다.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이러한 생성형 AI 서비스 출시가 카카오, 다음 등 국내 플랫폼 기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본인이 속한 회사 역시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1.3%를 차지했다.
회사에서 생성형 AI 플랫폼을 권장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37.0%가 '그렇다'고 답했다. 생성형 AI를 사용해 사람을 대체하거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업무로는 관리 업무가 30.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고객 상담과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등이 꼽혔다.
이시간 핫뉴스
하지만 사용 경험만큼이나 생성형 AI 서비스로 인한 직업 및 일자리 축소 등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20.6%의 응답자가 직업 및 일자리 축소를 우려했으며, 19.1%는 개인정보와 영업비밀의 노출 위험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 제공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도 있었다. 사용자들이 생성형 AI 사용시에 가장 불편하다고 느낀 점은 동문서답, 사실과 다른 답변, 출처와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 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crystal@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