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고체연료 ICBM 시험 관측…신속 발사·은닉 쉬워 軍 방어 부담

기사등록 2023/04/13 16:13:46

최종수정 2023/04/13 17:07:57

고도 3000㎞ 미만 1000㎞ 비행

軍 "이전과 다른 새 미사일 발사"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북한 조선중앙TV는 8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조선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을 진행했다고 9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23.02.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북한 조선중앙TV는 8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조선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을 진행했다고 9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23.02.0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북한이 13일 발사한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북한이 지난 2월 8일 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고체연료 기반 ICBM일 가능성에 군은 주목하고 있다. 이 경우 우리 군이 신속 발사와 은닉에 장점이 있는 고체 ICBM 방어에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7시 23분께 평양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이 미사일은 정상보다 높은 각도로 발사돼 약 1000㎞ 비행 뒤 동해상에 탄착했다.

정점 고도는 약 3000㎞ 미만으로 알려졌는데 기존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나 ICBM 발사 때 보이지 않았던 제원이다.

일본 정부는 이번 발사체를 ICBM급으로 추정했다.

군 관계자는 "항적의 형태나 고도, 비행 거리 등을 고려했을 때 지금까지 북한이 시험 발사했던 체계와 다른, 새로운 방식의 무기체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번 미사일이 올해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고체연료 ICBM일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고체연료 ICBM은 김정은 위원장이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당대회에서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의 '5대 과업' 중 하나로 제시한 무기체계다.

이후 북한은 지난해 12월15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ICBM급 엔진으로 평가받는 추진력 140tf(톤포스)의 대출력 고체연료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고, 지난 2월 건군절 열병식에서 고체연료 ICBM으로 추정되는 신형 무기를 공개했다.

이날 발사가 이를 시험발사한 것이라면 향후 추가 발사로 성능 고도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고체연료 엔진은 사전에 주입해둘 수 있어 신속 발사의 장점이 있고 이동식발사대에 탑재할 경우 은닉하기도 쉬워 액체연료 엔진 미사일에 비해 발사 징후 등을 사전에 포착하기가 어렵다. 핵·미사일을 막는 데 쓸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 우리 군 당국으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첫 시험에서 중거리인지 장거리인지 혼동을 일으킬 만큼 정점고도가 높았다면 완성도가 상당 수준이 아닐까 예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만약 오늘 발사가 고체연료 ICBM의 첫 시험발사였다면 내일 대대적으로 성과를 부각해 내부결집용으로 활용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북, 고체연료 ICBM 시험 관측…신속 발사·은닉 쉬워 軍 방어 부담

기사등록 2023/04/13 16:13:46 최초수정 2023/04/13 17:07:57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