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 대부분 스타트업으로 규제에 피로감 호소
업계, 바이오 헬스 산업 육성책으로 혁신 약속에 기대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3.02.28. yes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2/28/NISI20230228_0019808174_web.jpg?rnd=20230228115714)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3.02.28.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디지털헬스 업계가 최근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제2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자 일제히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정통 제약·바이오 산업과 달리 기존 규제와 다퉈야 하는 디지털 헬스업계는 정부의 발표에 환영하는 모습이다.
4일 국내 디지털헬스 업계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주도적으로 헬스케어 산업을 키우기로 한 계획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업계는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했다. 보스턴은 제약, 의료기기, 의학, 생명공학 등 헬스케어 산업의 중심지로 꼽힌다. 보스턴은 기업과 병원, 대학, 정부 등이 끊임없는 협업으로 이뤄낸 성공 사례로 통한다.
한 체외진단기기 업체 관계자는 “우선 신약에 치우치지 않고 의료기기 전반을 정책 지원 대상에 포함했다”며 “보스턴클러스터가 상징하는 규제 혁신이 한국에서도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관계자도 “정부가 헬스케어 산업을 육성하고, 의료기기 수출을 지원한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도 함께 이뤄진다면 수출도 더욱 증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첫 디지털치료기기 승인을 받은 에임메드 관계자는 “디지털 헬스업계는 대부분이 스타트업 위주로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범정부 차원에서 정책이 나왔기 때문에 앞으로 얼마나 협업이 잘 이뤄지는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부가 좋은 정책을 만들었으니 속도를 내서 추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일각에는 실제 정책이 진행된 후 평가해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도 지난 2019년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발표한 사례를 언급했다. 당시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관련 인허가와 관련해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규제시스템을 국제 기준에 맞춘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바이오헬스 경쟁력은 몇몇 대기업 계열사를 제외하면 제자리걸음이라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한 디지털 치료기기 업체 관계자는 “지금 한국 바이오산업 헬스 산업을 주도하는 것은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 중심”이라며 “여전히 제약, 바이오를 제외하면 디지털 헬스 분야는 여전히 소외됐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산업이라는 이유로 규제에 얽혀있기 때문”이라며 “규제를 해소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혁신보다 대기업 위주로 당장 보여주기에 치중했던 과거를 반복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의료기기 산업 수출 5위 국가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지난 28일 정부는 영상진단, 체외진단, 치과 등 주력 수출 분야는 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 디지털헬스 등 유망 분야 선점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361조원의 무역 금융을 활용하고 연구개발(R&D) 예산도 2배 늘려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4일 국내 디지털헬스 업계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주도적으로 헬스케어 산업을 키우기로 한 계획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업계는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했다. 보스턴은 제약, 의료기기, 의학, 생명공학 등 헬스케어 산업의 중심지로 꼽힌다. 보스턴은 기업과 병원, 대학, 정부 등이 끊임없는 협업으로 이뤄낸 성공 사례로 통한다.
한 체외진단기기 업체 관계자는 “우선 신약에 치우치지 않고 의료기기 전반을 정책 지원 대상에 포함했다”며 “보스턴클러스터가 상징하는 규제 혁신이 한국에서도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관계자도 “정부가 헬스케어 산업을 육성하고, 의료기기 수출을 지원한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도 함께 이뤄진다면 수출도 더욱 증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첫 디지털치료기기 승인을 받은 에임메드 관계자는 “디지털 헬스업계는 대부분이 스타트업 위주로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범정부 차원에서 정책이 나왔기 때문에 앞으로 얼마나 협업이 잘 이뤄지는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부가 좋은 정책을 만들었으니 속도를 내서 추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일각에는 실제 정책이 진행된 후 평가해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도 지난 2019년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발표한 사례를 언급했다. 당시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관련 인허가와 관련해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규제시스템을 국제 기준에 맞춘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바이오헬스 경쟁력은 몇몇 대기업 계열사를 제외하면 제자리걸음이라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한 디지털 치료기기 업체 관계자는 “지금 한국 바이오산업 헬스 산업을 주도하는 것은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 중심”이라며 “여전히 제약, 바이오를 제외하면 디지털 헬스 분야는 여전히 소외됐다”고 말했다.
이시간 핫뉴스
이어 “새로운 산업이라는 이유로 규제에 얽혀있기 때문”이라며 “규제를 해소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혁신보다 대기업 위주로 당장 보여주기에 치중했던 과거를 반복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의료기기 산업 수출 5위 국가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지난 28일 정부는 영상진단, 체외진단, 치과 등 주력 수출 분야는 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 디지털헬스 등 유망 분야 선점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361조원의 무역 금융을 활용하고 연구개발(R&D) 예산도 2배 늘려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