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규 과기정통 차관 "韓 기업, 챗GPT 같은 초거대 AI 선도할 수 있어"

기사등록 2023/02/23 16:02:30

과기정통부, '2023년 제2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 개최

챗GPT 등 AI 시장 변화에 대응한 정책방향 모색하기 위해 마련

하정우 네이버 소장, 일상생활·공공영역에 초거대 AI 활용 방안 소개

루닛·아이스크림에듀, 의료·교육 분야서 AI 제품·서비스 확산안 발표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루닛에서 '2023년 제2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사진은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이 발언하는 모습.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루닛에서 '2023년 제2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사진은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이 발언하는 모습.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left swipright swip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국내 기업도 검색, 포털 등 독립적 플랫폼과 한국어 데이터,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초거대 인공지능(AI) 분야를 선도할 가능성도 충분하다"며 "조만간 초거대 AI 산업 생태계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정부 역할과 정책방향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루닛에서 연 '2023년 제2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에서 박 차관이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디지털 기업 및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챗GPT 등 AI 시장의 변화에 대응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챗GPT는 출시 2달만에 1억명 이상의 이용자를 돌파할 정도로 전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용자들이 지식검색, 텍스트 창작, 소프트웨어(SW) 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며 일상생활과 업무영역에서 AI를 직접 경험하는 계기가 됐다.

챗GPT 등장으로 AI가 새로운 경쟁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내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다양한 포지션의 기업(플랫폼, 통신사, 전자, AI 중소기업)과 함께 초거대 AI 기술·산업 육성과 AI를 국민 일상 속으로 확산하기 위한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하정우 네이버 소장이 '하이퍼클로바' 개발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개방 플랫폼 구축 경험을 토대로 국내외 초거대 AI 현황과 향후 전망, 일상생활·공공영역에 초거대 AI를 활용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와 이지근 아이스크림에듀 이사가 각각 국민 삶과 밀접한 의료,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AI 제품·서비스 현황과 확산 방안을 소개했다.    

초거대AI 모델을 개발·공급하는 기업(네이버, 카카오, SKT, LG AI연구원)과 AI 응용 제품·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검색·상담 서비스, 콘텐츠 생성, 헬스케어, 법률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초거대 AI 접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아이디어도 논의했다.

실시간 정보 미반영, 거짓 답변 등 챗GPT 한계로 지적되는 이슈에 대한 기술적 극복 가능성, 윤리·신뢰성 확보 방안과 초거대AI 개발·활용 관련 법·제도적 이슈에 대해서도 활발한 논의를 이어갔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발표한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을 통해 제시된 국민 일상 곳곳으로 AI 제품·서비스를 확산하기 위한 방안을 발굴·구체화하기 위해 AI 산업 현장에서 경험한 기업들의 생생한 의견을 들었다. 

박 차관은 "정부가 그간 추진한 데이터 구축·개방, 컴퓨팅자원 제공, AI 연구개발(R&D) 지원 등 AI 정책들이 초거대 AI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도 초거대 AI 분야를 선도할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빅테크의 막대한 투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역량을 총결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조만간 초거대 AI 산업 생태계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정부 역할과 정책방향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민 누구나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디지털 심화기의 핵심 정책방향"이라며 "올해를 AI 일상화 원년으로 삼아 국민 생활 곳곳 AI 제품·서비스를 확산하는 전국민 AI 일상화 프로젝트를 관계부처와 함께 기획·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alpaca@newsis.com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박윤규 과기정통 차관 "韓 기업, 챗GPT 같은 초거대 AI 선도할 수 있어"

기사등록 2023/02/23 16:02:30 최초수정

많이 본 기사

newsis_c
newsis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