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5.5% 증가…국회서 22억원 신규 반영
밀·콩·쌀가루 등 식량자급률 향상에 1343억 투입
고령화·국물가 상승 대응 21개 사업 신규 편성
[세종=뉴시스] 오종택 기자 = 농촌진흥청 내년도 예산이 1조2600억원 규모로 정해졌다. 식량주권을 확보하고, 농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는 등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예산 확보에 무게를 뒀다.
28일 농진청에 따르면 2023년도 농진청 예산은 올해 1조1893억원보다 5.5%(654억원) 증가한 1조2547억원으로 확정됐다.
농진청 예산은 2019년 9405억원에서 2020년 1조원대(1조249억원)로 올라섰고, 2021년 1조961억원, 지난해 1조1893억원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에도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파속채소연구소 구축(6억원) ▲과수디지털농업실증연구소 구축(8억원) ▲국립참외연구소 구축(2억원)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델(5억원) 등 5개 사업, 22억원이 새롭게 반영됐다.
농진청은 내년 예산을 토대로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구현을 위한 식량주권 확보와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등 국정과제 이행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농촌 활성화와 현장 지원 강화 등 현안 해결과 한국 농업기술의 세계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농진청은 우선 식량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밀·콩·쌀가루 등 식량자급률 향상에 1343억원을 반영했다. 농축산물 안정적 생산 기술을 확산하는데 1575억원을 투입한다.
스마트농업 기술과 탄소중립, 그린바이오 등 신기술을 활용한 기술개발 등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에 2384억원을 편성했다.
농산업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해 3745억원, 농업·농촌 활력과 지역농업 활성화에 1073억원, 한국 농업기술의 글로벌 확산에 554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특히 농촌 고령화와 인구감소, 기후변화,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 농업 분야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583억원을 반영, 21개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밀과 콩 등 기초 식량 중심으로 자급률을 높이고, 국산 농산물 수요 확대와 안전 먹거리 생산에 집중 투자한다. 안정적 농지 확보를 위해 간척지 첨단농업 기술을 개발하고, 밀·콩·쌀가루 등 식량자급률 향상모델 기반을 조성한다. 작물 융복합 및 현장 실증연구도 새로 추진한다.
농축산물의 안정적인 생산 기술을 확산하는 노력도 병행한다. 재해에 강한 품종 육성과 농축산물 피해경감 기술을 개발해 현장에 뿌리내린다. 농산물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수확 후 관리기술도 개발해 수급 안정을 지원한다.
특히 파속 채소 산업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선도할 파속채소연구소를 2026년까지 전남 무안군에 총 345억원을 투입해 조성한다.
파속채소연구소에서는 파, 마늘, 양파 등 국산 신품종 파속 채소 육성과 안정생산기술 개발, 가공·수확 후 관리기술 확산·보급 등을 담당한다.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지원을 위해서도 집중 투자한다.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구현을 위한 기술혁신, 기반시설(인프라) 확충을 지원한다.
스마트농업 기술, 탄소중립, 그린바이오 등 신기술을 활용한 기술개발과 농진청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연구 자료와 농업 현장 정보를 체계적 관리한다.
과수 농가 디지털화를 선도할 과수디지털농업실증연구소를 충남 충주시에 구축하기 위해 420억원을 반영했다.
이와 함께 농업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손이 많이 드는 밭작물의 복합·범용형 농기계 개발을 확대한다.
우리 농산물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수출 유망품목도 중점 육성한다. 축산자원개발부 이전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내년도 예산을 올해(319억원)보다 대폭 늘어난 940억원으로 편성해 지원한다.
조재호 농진청장은 "식량 안보를 강화하고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는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하겠다"며 "농업·농촌이 당면한 현안 해결에 기관 역량을 집중하고, 국민과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