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이수지 기자 = 문화재청이 26일 '윷놀이'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윷놀이가 오랜 역사를 갖고 한반도에서 전승되고 있고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관련 역사 기록이 풍부하게 확인되고 있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윷판의 형성과 윷가락 사위를 나타내는 '도·개·걸·윷·모'에 대한 상징성 등 학술 연구 주제로서 활용도가 높고 가족과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절 없이 전승이 지속·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국가무형문화재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윷놀이는 한반도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와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종목으로 지정했다.
윷놀이는 양편으로 나뉘어 윷가락 4개를 던져, 윷가락이 엎어지고 젖혀진 상태에 따라 윷판의 모든 말을 목적지에 먼저 도달시키는 편이 이기는 놀이다. 정초부터 정월대보름까지 가족과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속해서 전승·유지되어 왔다.
산업화와 시화로 급격히 와해하는 사회변화에도 단절 없이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가치를 담은 대표 전통 놀이문화로 자리매김해왔다.
역사문헌에서 윷의 유래와 역사를 살펴보면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문헌에서 윷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를 발견하지 못했으나 윷을 '저포'와 동일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해 지칭하기도 했다.
이후 조선시대 초기에는 윷놀이에 해당하는 '사희'라는 용어가 나타났다. 조선시대 중·후기에는 '척사'라는 용어가 나타나 일제강점기와 현대까지 사용되는 용어가 됐다.
특히 조선시대부터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 깊이 있는 연구가 이뤄졌다. 김문표(1568~1608)는 윷판의 상징과 말의 움직임을 연구해 '중경지'에 '사도설'을 기술했다. 이규경(1788~1856)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사희변증설'을 주장했다. 심익운(1734∼?)은 '강천각소하록'의 '사희경'에서 윷가락·윷판은 물론 놀이법까지 기술했다.
윷놀이는 우리 민족의 우주관과 천문관을 바탕으로 음과 양, 천체의 28수 등 형식의 완결성을 지니고 있다. 놀이의 방식이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변형이 이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윷놀이와 유사한 보드게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놀이도구·놀이판·진행방식에서 볼 때 다른 판놀이에 비해 매우 독특한 특징이 있다.
윷가락의 다양한 지역적 분포, 윷판 없이 말로만 노는 건궁윷놀이 등 윷판의 다양한 형태, 놀이방법 변형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여지가 높고, 현재에도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통해 다양한 게임화가 이뤄지는 등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서도 전승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맹인 윷놀이의 전승 사실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윷놀이의 특성이 확인되고 있다.
현재에도 연초부터 정월대보름까지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된 척사대회 개최 등 지속가능성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전승활성화가 가능하며, 운에 기대는 운놀이라는 특성과 운에 그치지 않고 경우의 수를 활용하는 가변성의 특성, 직관적 놀이 구성으로 배우기 쉬운 특성, 주변 상황에 맞게 열린 놀이의 특성 등이 있다.
문화재청은 윷놀이에 대해 약 30일간 예고 기간 중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이후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지정 예고 기간에 문화재청 웹사이트와 'K-무형유산' SNS를 통해 윷놀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