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심각해지는 코로나 상황에 집중
이 시국에 핵실험 시 주민 불만 고조 가능
코로나 상관없이 실험 강행 전망도 있어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북한이 14일 코로나19 유증상자가 늘어나고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실토했다. 북한 체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북한이 준비 중인 7차 핵 실험을 감행할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지난 12일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회의 때만 해도 코로나19 대응과 다른 사업을 병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현재의 방역 형세가 엄혹하다고 해도 사회주의 건설의 전면적 발전을 향한 우리의 전진을 멈출 수 없으며 계획된 경제 사업에서 절대로 놓치는 것이 있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13일 기준으로 발열 증상이 있는 주민이 52만여명으로 늘어나고 누적 사망자가 27명까지 증가하자 김 위원장의 발언 내용이 바뀌었다. 김 위원장은 14일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협의회에서는 코로나19 대응에 관한 언급만 했다.
이처럼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핵 실험이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 "북한은 6월 상순 국가 중요 정책 결정을 위한 당 전원회의 개최를 예고했다. 당 전원회의까지는 핵 실험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6월 중 핵 실험이 없으면 장마기간인 7~8월까지도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단기적으로 코로나 확산 사태에도 불구하고 일단 계획된 국방(무기개발) 및 경제건설은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코로나 확산 여파에 따라 7차 핵 실험 등의 일정 조정이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일연구원 홍민 북한연구실장과 최규빈 부연구위원은 '북한 당 중앙위 제8기 제8차 정치국회의 및 코로나 확산 상황 분석' 보고서에서 "미사일 발사의 경우 기술적 점검을 할 수 있고 대외적 메시지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핵 실험은 대내외적 파급력이 확연하게 다르다"며 "현 국면을 방역 위기 상황으로 규정하고 있는 가운데 핵 실험을 감행할 경우 주민들에게 설득력을 갖기 어려운 측면이 있을 수 있다"고 짚었다.
다만 북한이 핵 실험을 강행할 것이라는 의견도 만만찮다.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7차 핵 실험을 위한 준비가 이뤄지는 장면이 위성사진을 통해 계속 포착되고 있다.

핵 기술 전문가인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에 따르면 핵 실험 순서는 갱도 굴착과 환기, 핵탄 안장과 측정 장치 부설, 외부 측정 장소와의 케이블 연결, 갱도 다시 메우기 등이다.
핵 실험 날짜가 정해지면 이후 상부 보고와 승인을 받고 지휘 통제 인력 도착, 현장 인력 대피와 비상 대기, 케이블 전원 연결, 폭파, 시료 채취 인력 진입, 현장 파악과 통제 등 순으로 실험이 이뤄진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을 지낸 올리 하이노넨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13일 미국의 소리 방송(VOA)에 "북한의 정치 체제에서 핵 실험이 코로나 상황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북한은 필요할 경우 코로나 등에 개의치 않고 수단과 방법을 모두 동원해 핵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ero@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