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폐기, 경북 동해안 '원자력 경제부흥' 재시동

기사등록 2022/04/05 17:18:01

최종수정 2022/04/05 17:30:43


[안동=뉴시스] 류상현 기자 = 새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에 따라 경북 동해안에 다시 '원자력 경제'의 꿈이 부풀고 있다.

경북도는 5일 경주 감포읍에 있는 원전현장인력양성원에서 '경상북도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새 정부 국정과제로 건의할 각종 원자력 관련 사업을 논의했다.

위원회는 원전지역 지역발전과 주민 생활향상에 기여하고자 지난 2012년에 구성됐다.

경북도는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 전략목표를 당초 4개 분야 12개 사업에서 수정·보완을 거쳐 연구실증, 인력양성, 산업육성 등 5개 분야에 19개 세부사업으로 재구성하고 경주와 울진 동해안 지역에 2조4578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는 새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버리고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 등 원전확대 정책으로 전환함에 따라 경북도가 계획한 국책사업의 유치 전략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원전소재 시장·군수, 지역도의원, 원전 공기업 임원, 원자력학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그동안 경북도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도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중수로해체기술원, 방사성폐기물정밀분석센터 등 굵직한 사업을 유치하며 R&D기반을 확보해 왔다

이날 회의에서 전찬걸 울진군수는 신한울 3, 4호기와 관련 "최근 역대 최대 산불피해로 고통받고 있는 울진 지역민들의 경제적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단된 원전건설이 즉각 재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진군은 계획된 신한울 4기가 건설되면 총 10기의 원전을 보유한 국내 최대 집적지가 됨에 따라 원자력 활용 수소 생산·실증단지 조성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상반기 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는 대통령 당선인의 원자력 수소기술 개발 공약인 '수소병합원전 개발 및 수출상품화'와 같은 맥락이다.

경북도는 정부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계획에 발맞춰 경주에 'SMR특화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차세대 원자로를 연구할 혁신원자력연구단지와 연계해 관련 '소부장' 산업을 육성하고 원전수출 시장을 선점한다는 구상이다.

또 원전해체, 소형모듈원자로 등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를 조성하고 국립 탄소중립 에너지미래관과 한수원 아트센터 및 연수원 설립도 추진한다.

지역으로 유입된 우수한 과학자들의 유출을 막기 위한 '지방이전 과학기술연구기관 지원 특별법' 제정도 추진하고, 방사능 재난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경주 유치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날 논의된 사업들이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대통령인수위와 소관 중앙부처에 적극 설명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원전건설 백지화는 지역경제 피해, 고용감소를 가져와 경북 동해안 주민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쥤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원전정책 대전환기를 맞아 정부와 긴밀하고 신속한 협의로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에 대한 지원을 이끌어 내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탈원전 폐기, 경북 동해안 '원자력 경제부흥' 재시동

기사등록 2022/04/05 17:18:01 최초수정 2022/04/05 17:30:4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