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핵위협에 긴장고조…러 핵무기 얼마나 갖고 있나

기사등록 2022/02/28 10:34:04

최종수정 2022/02/28 10:57:53

러시아 1500개의 핵탄두 보유…ICBM·SLBM 등 다양

美·英·佛·中 등 핵무기 소유…북한도 핵강국 분류

미, 탄도미사일 격추 기술에 투자…정확성에는 의문

[플레세츠크(러시아)=AP/뉴시스]지난해 12월9일 러시아 북서부 플레세츠크 시설에서 지상 배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가 이뤄지고 있다. 러시아와 미국은 양국 간에 마지막 남은 핵무기 통제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 스타트 협정) 만료를 며칠 앞둔 26일(현지시간) 이를 연장하기 위한 문서를 교환했다고 크렘린궁이 밝혔다. 2021.1.27
[플레세츠크(러시아)=AP/뉴시스]지난해 12월9일 러시아 북서부 플레세츠크 시설에서 지상 배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가 이뤄지고 있다. 러시아와 미국은 양국 간에 마지막 남은 핵무기 통제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 스타트 협정) 만료를 며칠 앞둔 26일(현지시간) 이를 연장하기 위한 문서를 교환했다고 크렘린궁이 밝혔다. 2021.1.27
[서울=뉴시스] 권성근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과의 긴장이 한층 고조된 가운데 러시아의 핵 억지력에 '경계 태세'를 명령했다.

미국은 러시아의 핵 위협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제재 수위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러시아의 핵무기에 대해 분석했다.

러시아는 어떤 종류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나

미국 원자력과학자회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에 따르면 러시아는 3000여 개의 저장고에 1500개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는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발사체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군용기에 장착할 수 있는 핵탄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사일 개발을 해왔다.

푸틴은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시사 한 것인가

그 부분은 명쾌하지 않다. 푸틴 대통령은 27일 비록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핵무기에 대한 경계 수위를 높였다. 그는 앞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국가들을 향해 "이전에 보지 못했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모스크바=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화상으로 열린 러시아 국가안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02.26.
[모스크바=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화상으로 열린 러시아 국가안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02.26.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들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서방국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도 핵무기를 갖고 있다. 이들 국가뿐만 아니라 인도, 파키스탄, 북한도 핵강국이다. 이스라엘도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를 공식적으로 확인한 적은 없다. 미국과 러시아가 가장 많은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이 그 뒤를 잇는다. 이들 국가가 핵무기를 보유하면서 내세운 정당성은 다른 국가가 자신들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다.

러시아 핵무기 공격 방어할 무기 있나

미국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탄도미사일 격추를 위한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 그러나 그 시스템들은 요격 시험에서 성공과 실패를 반복했다. 러시아의 핵무기는 이 시스템을 쉽게 압도할 수 있다.

핵무기를 실제 사용한 적 있나

그렇다.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말 일본의 두 개 도시에 원자력 폭탄을 투하했다. 당시 핵폭탄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이 유일했다. 현재의 핵탄두는 일본에 투하했던 무기들보다 훨씬 더 파괴적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푸틴, 핵위협에 긴장고조…러 핵무기 얼마나 갖고 있나

기사등록 2022/02/28 10:34:04 최초수정 2022/02/28 10:57:5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