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관계자들이 지난달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5호선 승강장에서 기획재정부 장애인권리예산 반영 촉구에 대한 입장발표 기자회견 마친 뒤 이동권 보장 정책, 교육권 연내제정 등을 요구하며 지하철에 탑승하고 있다. 2022.01.03.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10일 오전 장애인단체가 이동권 보장 요구 시위를 벌이면서 서울지하철 5호선 상행 방면 운행이 지연되고 있다.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이날 오전 7시41분께부터 지하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승강장에서 휠체어를 출입문 사이에 끼우는 방식으로 시위를 진행했다. 이로 인해 10분 가량 열차 운행이 중단됐다.
이들은 광화문역으로 이동한 뒤 다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돌아와 4호선으로 환승하며 시위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전장연은 대선 후보들에게 장애인의 이동권·교육권·노동권·탈시설 권리를 위한 예산을 약속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관련 예산 보장을 촉구하는 시위를 서울 지하철 곳곳에서 전개해왔다.
[서울=뉴시스]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영상 캡처 . 2022.07.01. (사진= 채널A 제공) photo@newsis.com*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황지향 인턴 기자 = 68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트랜스젠더 인기 유튜버 풍자가 가슴 아픈 어린 시절을 털어놓았다.
풍자는 지난 1일 오후 방송된 채널A '오은영의 금쪽상담소'에서는 "일을 하지 않으면 불안하다"며 상담소를 방문한 이유에 대해 털어놨디.
오죽하면 고관절 뼈를 잘라내 인공 관절을 넣는 대수술을 하고도 마취에서 깨자마자 라이브 방송을 켰다고 고백했다. 이에 오은영 박사는 일하느라 골반염 치료를 미루다 고관절 괴사로 이어져 하반신 불구 위기까지 겪은 풍자를 일 중독이라고 분석했다.
오은영 박사는 워커홀릭은 '가장 잘 포장된 정신질환'이라고 표현하며, 워커홀릭의 4가지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풍자가 본인의 몸이 편안한 걸 못 견디고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등 자기 몸을 혹사시키는 '자기 파괴적 행동'을 한다는 사실도 짚어낸다.
또 풍자는 과거 병무청 신체검사에서 현역 1급 판정을 받은 사실에 대해서도 돌아봤다. "성전환 후 검사를 받았는데 1급이 떴다. 너무 당황해서 그 자리에서 울었다"는 것이다. "여성화가 된 상태로 신체검사를 받았는데 어떻게 1급이 나올 수가 있었는지. 군대를 가야 하나, 길렀던 머리를 잘라야 하나 등 많이 생각했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영상 캡처 . 2022.07.01. (사진= 채널A 제공) photo@newsis.com*재판매 및 DB 금지
"그런데 병무청에서 '신체만 1급이다. 건강 상태는 1급이 아니다'라는 말씀을 해주시더라"면서 힘들게 군대 면제를 받았음을 설명했다.
이날 오은영 박사는 풍자의 심각한 '워커홀릭'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 시절에 대해 파헤친다. 풍자는 어릴 적 스스로 목숨을 끊은 어머니와 지방에서 일을 하며 자녀들을 돌보지 못했던 아버지의 부재로 홀로 어린 동생들을 돌봐야 했던 시간들을 떠올리며 그동안 꺼내 놓지 못했던 아픔에 대해 털어놓으며 끝내 눈물을 보였다.
녹화가 중단됐을 만큼 한참 동안 눈물을 흘린 풍자는 오은영의 위로가 20년 전 어머니의 위로 같았다며 힘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