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신규 대북 제재에 통일부 "北, 상황 악화 말라"

기사등록 2022/01/13 11:32:09

최종수정 2022/01/13 11:49:43

"美조치, 논평 없다…기존 입장 반영된 듯"

"평화, 안정적 관리 중요…대화 계기 노력"

[평양=AP/뉴시스]지난 11일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고 있다. 2022.01.12.
[평양=AP/뉴시스]지난 11일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고 있다. 2022.01.12.
[서울=뉴시스] 심동준 기자 = 통일부가 미국의 신규 대북 제재와 관련해 직접 논평을 피했다. 그러면서 북한에 대해 "추가적인 미사일 발사 등과 같은 상황 악화 조치 말고 대화 촉구 노력에 호응하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13일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신규 자체 대북 제재에 관해 "미국 정부가 자국법에 따라 취한 조치라 특별히 논평할 사안은 없다"며 "미국 측 기존 입장이 반영된 조치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할 때까지 대북 제재를 유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대화 관여 노력을 하겠는 입장도 밝혀 왔다"며 "이번 제재와 함께 나온 성명에서도 다른 한편에선 대화, 외교를 하겠다는 입장이 담겼다"고 했다.

또 "통일부로서는 한반도 정세의 평화적, 안정적 관리가 중요하다고 보고 미국 등 국제사회와 협력하면서 남북 대화 계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려 한다"며 북한 측 호응을 요구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12일(현지시간) 북한 국적 6명과 러시아 국적 1명 등 개인 7명, 러시아 회사 '파섹(PARSEK)'을 제재 명단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북한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조 바이든 행정부가 가한 첫 제재이다.

이번 미국의 자체 대북 제재는 북한의 연이은 극초음속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이뤄졌다. 북한은 올해 들어 지난 5일과 11일 시험 사실을 밝혔으며, 특히 11일 발사에 대해선 '최종 확증'이란 표현을 더했다.

지난 11일 발사 과정에서는 미국 서부에서 항공기 운항이 일시 중단되는 상황도 벌어졌다. 이번 제재에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에 대한 미국의 경계가 반영됐을 수 있다는 시선도 있다.

한편 주유엔 미국 대사는 추가 유엔 대북 제재 제안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9월 이후 북한의 6회 탄도미사일 발사는 각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취지라고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美신규 대북 제재에 통일부 "北, 상황 악화 말라"

기사등록 2022/01/13 11:32:09 최초수정 2022/01/13 11:49:4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