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에도 불법 주·정차 만연…통행 불편
주거지·상권 경계 모호…주민 "살기 좋은 곳은 아냐"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26일 오후 광주 동구 동명동 어린이보호구역 갓길에 주차 차량이 늘어섰다. 2021.03.28. hyein0342@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1/03/28/NISI20210328_0017292917_web.jpg?rnd=20210328092605)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26일 오후 광주 동구 동명동 어린이보호구역 갓길에 주차 차량이 늘어섰다. 2021.03.28.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동명동 상권이 활성화되니 반길 일입니다만, 살기 좋은 곳은 아닙니다."
지난 2016년부터 구 도심인 동명동 주택가에 카페·식당이 들어서면서 '동리단길' 상권이 형성됐지만, 늘어난 유동 인구만큼 불법 주·정차와 각종 생활 소음에 따른 원주민 불편이 여전하다.
지난 26일 오후 광주 동구 동명동.
이른바 '동리단길'(동명동+이태원 경리단길의 합성어)로 불리우는 이 곳은 주택 사이로 오래된 빈 집을 개조해 감각적으로 꾸민 술집·식당이 즐비했다.
최근 수 년 사이 입소문을 탄 서울 이태원·연남동처럼 눈길을 끄는 인테리어를 갖춘 술집·식당·카페 등이 밀집해 있었다.
'동리단길'은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 이른바 '핫플레이스(핫플·HotPlace)', '셀카맛집' 등으로 불리우며 2030세대의 명소로 떠올랐다.
인파가 오가며 침체된 구 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지만, 주거 지역과 상권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특성 탓에 원주민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광주시립중앙도서관 일대와 인접한 주택가·원룸 외벽 등지 곳곳에는 주민들이 붙여 놓은 안내문이 눈에 띄었다.
안내문에는 '불법 주차 금지', '주택가입니다. 조용히 해주세요', '담배 꽁초 버리지 마세요' 등이 쓰여있었다.
해가 지고 금요일 밤이 되자 동명동 일대에는 방문 차량이 줄지어 몰렸다.
'어린이보호구역' 주변 갓길엔 주차 차량이 길게 늘어섰다. 번화가 인근을 수 차례 배회하던 운전자는 마땅한 주차 공간을 찾지 못해 '주·정차 금지' 표지판 앞에 차를 세우기도 했다.
갓길 주차 차량으로 인해 폭이 좁아진 도로에선 정체가 이어졌고, 뒤엉킨 차량 사이로 '빵빵' 경적 소리가 들렸다.
산책을 나온 한 주민은 어린 손주의 손을 꼭 잡은 채 복잡하게 얽힌 차량 사이를 빠져나갔다.
동명동 주민 김모(63)씨는 "상권 활성화는 반기지만, 주말·평일 저녁에는 차량 정체·불법 주차로 인해 통행이 불편하고 번잡하다. (해당 시간대는) 거의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떠오르는 명소인 만큼 충분한 차량 주차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운전자 한모(24)씨는 "동명동을 방문할 때마다 마땅한 주차 공간을 찾지 못했다. 주차 금지 구역이나 주택가에 차를 세워놓는다. 인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설 주차장도 있지만, 지인들과 모이면 보통 4~5시간은 머무르는데 주차 요금 부담이 꽤 크다"고 말했다.
번화가 술집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소리와 어느 일행의 들뜬 대화 소리는 5m 가량 떨어진 주택 담벼락 밑에서도 들렸다.
음식 배달 오토바이는 1분에 한 번 간격으로 번화가와 인근 주택가 골목을 지나치며 요란한 엔진음을 냈다.
'빠라바라바라밤' 시끌벅적한 경적을 울리며 지나가는 오토바이도 있었다. 유행가를 크게 튼 채 달리는 차량도 종종 보였다.
동명동 50년 토박이인 김모(79·여)씨는 "주말이면 새벽 시간까지 상가에서 흘러나온 노랫소리, 취객 고성방가로 가끔 잠까지 설친다"고 토로했다.
51년째 동명동에 산 하모(88·여)씨는 "아침 일과는 집 주변 골목에 떨어진 담배 꽁초 줍기다. 술집 손님들이 주택 근처까지 와 흡연을 해 고역이다. 살기 좋은 곳은 못 된다"고 말했다.
지난 2016년부터 구 도심인 동명동 주택가에 카페·식당이 들어서면서 '동리단길' 상권이 형성됐지만, 늘어난 유동 인구만큼 불법 주·정차와 각종 생활 소음에 따른 원주민 불편이 여전하다.
지난 26일 오후 광주 동구 동명동.
이른바 '동리단길'(동명동+이태원 경리단길의 합성어)로 불리우는 이 곳은 주택 사이로 오래된 빈 집을 개조해 감각적으로 꾸민 술집·식당이 즐비했다.
최근 수 년 사이 입소문을 탄 서울 이태원·연남동처럼 눈길을 끄는 인테리어를 갖춘 술집·식당·카페 등이 밀집해 있었다.
'동리단길'은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 이른바 '핫플레이스(핫플·HotPlace)', '셀카맛집' 등으로 불리우며 2030세대의 명소로 떠올랐다.
인파가 오가며 침체된 구 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지만, 주거 지역과 상권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특성 탓에 원주민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광주시립중앙도서관 일대와 인접한 주택가·원룸 외벽 등지 곳곳에는 주민들이 붙여 놓은 안내문이 눈에 띄었다.
안내문에는 '불법 주차 금지', '주택가입니다. 조용히 해주세요', '담배 꽁초 버리지 마세요' 등이 쓰여있었다.
해가 지고 금요일 밤이 되자 동명동 일대에는 방문 차량이 줄지어 몰렸다.
'어린이보호구역' 주변 갓길엔 주차 차량이 길게 늘어섰다. 번화가 인근을 수 차례 배회하던 운전자는 마땅한 주차 공간을 찾지 못해 '주·정차 금지' 표지판 앞에 차를 세우기도 했다.
갓길 주차 차량으로 인해 폭이 좁아진 도로에선 정체가 이어졌고, 뒤엉킨 차량 사이로 '빵빵' 경적 소리가 들렸다.
산책을 나온 한 주민은 어린 손주의 손을 꼭 잡은 채 복잡하게 얽힌 차량 사이를 빠져나갔다.
동명동 주민 김모(63)씨는 "상권 활성화는 반기지만, 주말·평일 저녁에는 차량 정체·불법 주차로 인해 통행이 불편하고 번잡하다. (해당 시간대는) 거의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떠오르는 명소인 만큼 충분한 차량 주차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운전자 한모(24)씨는 "동명동을 방문할 때마다 마땅한 주차 공간을 찾지 못했다. 주차 금지 구역이나 주택가에 차를 세워놓는다. 인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설 주차장도 있지만, 지인들과 모이면 보통 4~5시간은 머무르는데 주차 요금 부담이 꽤 크다"고 말했다.
번화가 술집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소리와 어느 일행의 들뜬 대화 소리는 5m 가량 떨어진 주택 담벼락 밑에서도 들렸다.
음식 배달 오토바이는 1분에 한 번 간격으로 번화가와 인근 주택가 골목을 지나치며 요란한 엔진음을 냈다.
'빠라바라바라밤' 시끌벅적한 경적을 울리며 지나가는 오토바이도 있었다. 유행가를 크게 튼 채 달리는 차량도 종종 보였다.
동명동 50년 토박이인 김모(79·여)씨는 "주말이면 새벽 시간까지 상가에서 흘러나온 노랫소리, 취객 고성방가로 가끔 잠까지 설친다"고 토로했다.
51년째 동명동에 산 하모(88·여)씨는 "아침 일과는 집 주변 골목에 떨어진 담배 꽁초 줍기다. 술집 손님들이 주택 근처까지 와 흡연을 해 고역이다. 살기 좋은 곳은 못 된다"고 말했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26일 오후 광주 동구 동명동 주택가에서 '소음 자제' 안내 문구가 부착됐다. 2021.03.28.hyein0342@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1/03/28/NISI20210328_0017292918_web.jpg?rnd=20210328092559)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26일 오후 광주 동구 동명동 주택가에서 '소음 자제' 안내 문구가 부착됐다. 2021.03.28.hyein0342@newsis.com
최근 3년간 동구청에 접수된 동명동 일대 소음 관련 민원 접수 처리 현황은 ▲2018년 16건 ▲2019년 5건 ▲2020년 3건 등이다.
동명동 일대 불법 주·정차 과태료 부과 건수도 ▲2018년 1711건 ▲2019년 4226건 ▲2020년 4031건 등으로 집계돼 증가세가 가파르다. 올해 1분기에도 900여 건은 거뜬히 넘을 것으로 동구는 보고 있다.
동명동에 주차 공간이 필요하지만, 현재 공용 주차장 신설은 불투명한 상태다.
광주시는 동명동 30만㎡ 일대 거리 정비·거점 공간 조성을 목표로 '광주대표 문화마을'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의 일환으로 주차 60면 규모(991㎡)의 '동명동 공용 주차장' 설립을 계획하고 있지만, 토지 보상 문제가 꼬이면서 사업 전망이 불투명하다.
동구 관계자는 28일 "소음 민원이 접수되면 해당 상점을 방문해 '음향 장치 음량을 줄여달라'고 계도 활동을 벌인다. 주정차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법도 모색하고 있다. 최근엔 코로나19로 인파가 줄어 민원은 줄었지만 앞으로도 소음·주정차 등 각종 민원을 적극 대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시간 핫뉴스
국토교통부 박수옥 중앙도시계획위원은 "도심 활성화 계획 수립 시 원주민·상점·지자체 간 '소통'이 최우선이다"며 "지자체는 위치 선정·공공시설 설립에 있어 주민과 상인 등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각 주체도 논의 구조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