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다 못 쓴 재생에너지 육지로 보낸다…"출력 제어 최소화"

기사등록 2021/03/03 15:00:00

산업부,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

내년 양방향 송전 가능한 HVDC 준공

플러스 DR 도입 …잉여 전력 쓰면 혜택

지역 맞춤형 마이크리드 사업 발굴 나서

[제주=뉴시스]제주시 한경면 두모리와 금등리 앞바다에 위치한 국내 최초·최대의 상업용 해상풍력단지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사진=탐라해상풍력발전 제공)
[제주=뉴시스]제주시 한경면 두모리와 금등리 앞바다에 위치한 국내 최초·최대의 상업용 해상풍력단지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사진=탐라해상풍력발전 제공)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앞으로 제주도에서 다 못 쓴 재생에너지는 육지로 보내진다. 섬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늘릴 수 있는 계통 안정화 설비와 관련 제도가 마련되고 잉여 전력을 수소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실증도 진행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산업부와 민주당 탄소중립 특별위원회, 제주도청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한국전력,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 등 관계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에 발표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은 현재 정부에서 마련 중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의 내용 가운데 단기 추진이 가능한 대책 위주로 만들어졌다.

분산에너지는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돼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뜻한다. 여기에는 중소 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자원 등이 포함된다.

세부 내용을 보면 제주 지역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최소화 방안이 마련됐다.

최근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설비가 증가하면서 수요를 초과하는 전력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이 불가피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제주도에서 재생에너지 출력을 제어한 사례는 77차례이며, 이는 1만9449㎿h에 달하는 양이다. 2019년과 비교하면 횟수는 31회, 제어량은 2배 넘게 늘었다.

정부가 제주도 내 잉여 전력을 육지로 전송하려는 이유다.

현재 제주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초고압직류송전(HVDC) #1·#2는 육지에서 제주도로만 전력을 보낼 수 있지만 앞으로는 역송 성능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말 준공 예정된 HVDC #3를 활용하면 실시간 양방향 전송도 가능하다.

이러면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은 최대 40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150㎿를 추가 수용할 수 있는 23㎿h규모의 계통 안정화 ESS를 올해 안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해소할 신규 유연성 자원으로 전력을 수소로 전환하는 P2G 기술, 열로 전환하는 P2H 기술 등에 대한 실증도 진행된다. 아울러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 기술 개발도 추진된다.

잉여 전력을 소비하면 혜택을 주는 플러스 수요반응(DR) 제도도 이달부터 도입된다.

일반적인 DR은 피크 수요 시기에 전력 수요를 절감하지만 플러스 DR은 잉여 전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에 전력을 사용하는 제도다.
[제주=뉴시스] 제주 신재생 EV융복합스테이션 모습. (사진=제주도 제공)
[제주=뉴시스] 제주 신재생 EV융복합스테이션 모습. (사진=제주도 제공)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도 마련했다.

예를 들어 현재 충남 홍성군 원천마을은 축산 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인근에서 소비하고 있다. 이런 사례를 제주도 내에서 발굴하고 지원하려는 것이다.

지역의 에너지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에너지 센터를 설립하고, 분산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해 관리할 계획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통합발전소·배전망운영자 제도 실증, 생산자·소비자 간 직접 거래 등 전력 거래 특례가 허용된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 에너지 협의회'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장기 제도 개선 방향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상반기 내 발표할 예정"이라며 "분산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법적 근거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도 검토해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제주서 다 못 쓴 재생에너지 육지로 보낸다…"출력 제어 최소화"

기사등록 2021/03/03 15: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