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시설 신입 수용자 격리기간 2주→3주로…2회 음성시 해제

기사등록 2020/12/25 12:36:54

정부 "확진자 1명 발생시 해당시설 전수검사"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수용시설 수용자와 직원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수검사가 시작된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구치소 위로 먹구름이 끼어있다. 2020.12.23.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수용시설 수용자와 직원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수검사가 시작된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구치소 위로 먹구름이 끼어있다. 2020.12.23.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임재희 기자 = 서울동부구치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수검사에서 500여명이 확진되는 등 감염병 발생이 증가하자 정부가 신규 수용자에 대해 전수 검사를 하고 격리 기간을 3주로 연장하는 등 방역 관리를 강화한다.

현재 교정당국이 구치소별로 기존 수용자에 대해서도 전수 검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앞으로 1명이라도 확진자가 발생하는 시설에선 그 즉시 전수 검사를 진행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법무부로부터 이런 내용의 '교정시설 방역실태 특별점검 결과'를 보고받고 논의했다.

법무부가 서울동부구치소 집단 감염 이후 이달 22~23일 전국 50개 교정시설의 방역 실태를 특별점검한 결과 외부인 출입 시 문진표 작성·상시 마스크 착용 미흡 등으로 현지 시정 19건, 계도 5건, 개선지시 8건 등 조치가 이뤄졌다.

법무부는 교정시설 내 집단감염이 이어지자 방역 관리를 강화한다. 우선 신입 수용자에 대한 격리 기간을 기존 2주에서 3주로 연장해 신입 수용자에 의한 시설 내 전파를 최소화한다. 신입 수용자에 대해선 인수 시 1차로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고 격리 해제 전 2차로 진단검사(유전자 증폭·PCR)를 통해 음성인 경우에만 격리에서 해제된다.

무증상자를 통한 교정시설 내 감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1명이라도 확진자가 발생하면 해당 시설의 직원과 수용자 전원에 대해 전수검사를 실시한다.

중대본에 따르면 법무부는 현재 구치소 단위별로 전수 검사를 진행 중이다.

구치소 확진자들의 치료 방안에 대해선 현재 신규 구치소에 격리하거나 비어있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운영 생활치료센터로 옮기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교정시설 확진자와 관련해 "새로 만들어지는 구치소에 입소하는 방안과 중수본에서 지정해 비어있는 생활치료센터로 입소하는 방안 등 두가지 방향에서 법무부와 실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빨리 조치가 취해질 수 있는 부분과 효과적으로 (재소자) 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부분들을 고려해 조만간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11월27일 서울 송파구 거주 수능 수험생이 확진되고 그 가족이 근무하는 서울동부구치소에서 확진자가 발행한 뒤로 현재까지 2차례 전수검사 결과 확진자는 직원 20명, 수용자 478명 등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동부구치소 관련 확진자는 총 514명이다. 특히 2차 검사 결과 288명(직원 2명·수용자 286명)이 확진되면서 전국 국내 발생 환자 수도 1216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유입 이래 최대 규모로 증가했다.

현재 서울동부구치소에 대해선 15개 동을 동일집단(코호트) 격리 구역으로 설정하고 생활치료센터에 준해 치료·관리 중이며 의료 인력과 긴급 방역물품 등이 지원됐다.

서울구치소에선 확진자 2명 발생 이후 직원과 수용자 3221명을 전수검사한 결과 미결정 14명(유전자 증폭 진단검사시 양성 기준 경계선 값이 나와 확진 여부를 판단하지 못함) 외에 3207명 전원이 음성으로 확인됐다.

감염취약시설인 소년원·외국인보호시설·치료감호소도 PCR 검사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교정시설 집단감염 관리 강화도 진행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교정시설 신입 수용자 격리기간 2주→3주로…2회 음성시 해제

기사등록 2020/12/25 12:36:54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