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폭도 아닌 민주투사"…최후항쟁지 첫 정부기념식으로 증명

기사등록 2020/05/18 10:44:36

"피로 만들어진 민주주의·광주정신 현세대들이 계승" 의미

[광주=뉴시스]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린 제4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0.05.18.since1999@newsis.com
[광주=뉴시스]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린 제4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1980년 5월 신군부에 맞서 '민주주의'를 외쳤다는 이유로 폭도로 몰렸던 열사들의 최후항쟁지에서 18일 대통령이 참석하는 정부주관 5·18민주화운동 40주기 기념식이 열렸다.

열사들이 잠들어 있는 국립5·18민주묘지에서 1997년 정부주관 기념식이 첫 개최된 이후 장소가 바뀐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월 단체는 "40년전 민주주의를 외쳤던 열사들이 폭도 또는 빨갱이가 아니라는 것을 정부 기념식을 통해 증명하는 것이며 광주정신을 현세대들이 계승하라는 의미이다"고 평가했다.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는 이날 오전 5·18민주유공자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민주·인권·평화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는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40주기 기념식이 개최됐다.
 
기념식이 열린 장소는 5·18 당시 항쟁 지도부가 있었으며 광장 분수대를 연단 삼아 신군부의 계엄에 맞서 각종 집회를 열고 항쟁 의지를 불태웠던 역사적 현장이다.

18일부터 최후 항쟁을 벌였던 27일까지 10일동안 매일 수만명의 군중이 운집했으며 '계엄해제와 민주주의 수호' 등의 구호를 외쳤다.

계엄령에도 시위가 계속되자 신군부는 공수부대를 동원해 진압에 나섰으며 5월21일 오후 1시 옛 전남도청 옥상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애국가가 울림과 동시에 집단발포로 이어져 수많은 생명이 쓰러졌다.

시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고 '광주'와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는 의지만으로 총기를 구해 군부대에 맞섰다. 계엄군은 같은날 오후 옛 전남도청에서 나와 외곽으로 피했다.

이후 광주는 무정부 상태가 됐지만 옛 전남도청을 중심으로 결성된 시민군이 치안을 유지했고 절도와 강도 등 강력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있는 시민군들에게 주먹밥을 나누어 주며 항쟁에 동참했다.

하지만 신군부는 시민들을 폭도, 북한 공작원으로 규정하고 5월27일 오전 4시 헬기와 총칼을 동원해 광주 재 탈환에 나섰다.

 옛 전남도청을 끝까지 지키고 있던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 등 수십명이 목숨을 잃어 열흘간의 무장 항쟁은 막을 내렸다.

당시 진압작전 때 25명이 숨졌으며 200여명이 신군부에 끌려가 고초를 당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듬해부터 희생자 유가족을 중심으로 5·18진상규명의 목소리를 냈고 1996년까지 자체 기념행사를 진행했다.

1988년 5월17일 광주 구동 실내체육관에서는 처음 전야제가 열렸다.

이후 1997년 5월9일 법정(정부주관)기념일로 지정됐으며 그해 18일 행정자치부 주관으로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기념식이 열렸으며 39주기까지 진행됐다.

5월단체 관계자는 "옛 전남도청 앞 광장은 민주주의를 요구했던 시민들의 울분이 결집된 장소이며 광주정신이 만들어진 곳이다"고 말했다.

이어 "옛 전남도청에 끝까지 남아 신군부에 맞섰던 열사들의 피가 서려있는 곳에서 정부가 5·18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행사를 하는 것은 정부가 그날로 인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 "남아있는 세대가 40년이 되도록 풀리지 않고 있는 발포명령자와 행방불명자 등을 찾아서 한을 풀어야 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5·18폭도 아닌 민주투사"…최후항쟁지 첫 정부기념식으로 증명

기사등록 2020/05/18 10:44:36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