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쓰레기 무단투기 빅데이터로 잡는다

기사등록 2019/10/22 15:19:37

무단투기 특별관리지역’ 지정…관내 17개 동에 적용

【서울=뉴시스】서울 성동구 쓰레기 무단투기 데이터 분석 화면. 2019.10.22. (사진=성동구 제공)
【서울=뉴시스】서울 성동구 쓰레기 무단투기 데이터 분석 화면. 2019.10.22. (사진=성동구 제공)
【서울=뉴시스】윤슬기 기자 =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빅데이터를 통해 '무단투기 특별관리지역'과 폐쇄회로(CC)TV 설치 필요지점을 지정해 쓰레기 무단투기 고질민원 해결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구는 지난 3월 출범한 성동 빅데이터센터를 통해 쓰레기 무단투기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다발지역)과 한 곳에 자주 발생하는 지역(상습지역)을 구분하기 위해 무단투기 상습지역 도출 모델을 개발·적용했다. 다발과 상습 모두에 해당하는 지역을 쓰레기 '무단투기 특별관리지역'으로 분류해 CCTV 설치, 순찰 강화, 빨리처리반 투입을 통해 적극적인 쓰레기 무단투기 방지에 나서고 있다.

이외에도 쓰레기 무단투기 CCTV 적발 데이터를 사용해 CCTV 적발 현황을 파악하고, CCTV 설치가 필요한 지점도 선정했다.

쓰레기 무단투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르면 관내 3개 동 일대에  쓰레기 무단투기 특별관리지역이 확인됐다. 발생 유형으로는 단독 주택, 1인 가구, 노후건축물, 유동인구 밀집 지역에 무단투기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관내 17개 동의 쓰레기 무단투기 담당자와 공유해 순찰을 강화할 방침이다. 관련 부서가 통합 회의를 통해 쓰레기 무단투기 근절 대책을 수립했다. 생활밀착 사업인 동네환경지킴이 활동 경로에도 참고해 운영할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이번 쓰레기 무단투기 발생지역 분석은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참고해 정책에 적극 활용한 좋은 사례"라며 "앞으로도 각 부서에서 다년간 축적된 정보를 활용해 구민들에게 맞춤형 정책을 지원하는 '스마트 포용도시 성동'의 과학 행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힘써 달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성동구, 쓰레기 무단투기 빅데이터로 잡는다

기사등록 2019/10/22 15:19:37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