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2차 정상회담 의지 표명
"일방적 양보 않고 원칙과 자존심 지키겠다는 것"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일 신년사에서 미국에 자신들의 '인내심'을 오판하면 '새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 밝혀 그 배경이 주목된다.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전략을 바꾸겠다기보다 핵 무력 검증과 상응조치의 첫 단추를 끼우지 못하고 교착 국면에 빠진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향적 태도를 촉구하기 위한 메시지라는 분석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신년사에서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 이후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계기로 북미 관계가 극적으로 전환되면서 한반도와 지역의 평화 안전이 보장되기 시작했고, 이후 핵무기를 만들지도 시험하지도 않겠다는 약속을 실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그리고 완전한 비핵화 달성이 북한의 '불변한 입장'이며 '항구적 의지'라는 점도 거듭 확인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과) 서로 안고 있는 우려와 뒤엉킨 문제 해결에 빠른 방도에 대하여 인식을 같이했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여전한 신뢰를 강조했다. 나아가 "언제든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돼 있다"며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그러나 북미 간 비핵화 협상 진전 속도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감추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남북 평양공동선언에서 '상응조치' 조건부 영변 핵시설 폐기 의사를 밝히고 같은해 10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을 계기로 등가교환할 카드를 맞추려 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 북한은 상응조치로 미국의 제재 완화 조치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은 검증 등 비핵화 조치 초기 단계에서는 제재를 완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여기에다가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폐기 계획에 대한 보상을 놓고도 북미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조야에서는 '북미 정상회담' 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의견도 없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면서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 들고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에로 나간다면 어쩔 수 없이 나라의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지난해까지 신년사에서 사용했던 '동방의 핵강국' 등의 표현은 자제하며 불필요한 논란을 최소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을 극복하고 대화로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볼 수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도 자신들에게 한계라는 것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그렇다고 지금 당장 새로운 길로 움직이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역지사지의 자세에서 협상에 나올 것을 촉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이 원하는 대로 자신들이 일방적으로 양보만은 하지 않을 것이며 원칙과 자존심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밝힌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해 긍정적 메시지를 보낸 것은 최근 북미 간 접촉에 나름 성과가 있다는 반증"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김 위원장은 이날 신년사에서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 이후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계기로 북미 관계가 극적으로 전환되면서 한반도와 지역의 평화 안전이 보장되기 시작했고, 이후 핵무기를 만들지도 시험하지도 않겠다는 약속을 실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그리고 완전한 비핵화 달성이 북한의 '불변한 입장'이며 '항구적 의지'라는 점도 거듭 확인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과) 서로 안고 있는 우려와 뒤엉킨 문제 해결에 빠른 방도에 대하여 인식을 같이했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여전한 신뢰를 강조했다. 나아가 "언제든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돼 있다"며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그러나 북미 간 비핵화 협상 진전 속도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감추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남북 평양공동선언에서 '상응조치' 조건부 영변 핵시설 폐기 의사를 밝히고 같은해 10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을 계기로 등가교환할 카드를 맞추려 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 북한은 상응조치로 미국의 제재 완화 조치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은 검증 등 비핵화 조치 초기 단계에서는 제재를 완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여기에다가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폐기 계획에 대한 보상을 놓고도 북미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조야에서는 '북미 정상회담' 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의견도 없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면서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 들고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에로 나간다면 어쩔 수 없이 나라의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지난해까지 신년사에서 사용했던 '동방의 핵강국' 등의 표현은 자제하며 불필요한 논란을 최소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을 극복하고 대화로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볼 수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도 자신들에게 한계라는 것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그렇다고 지금 당장 새로운 길로 움직이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역지사지의 자세에서 협상에 나올 것을 촉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이 원하는 대로 자신들이 일방적으로 양보만은 하지 않을 것이며 원칙과 자존심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밝힌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해 긍정적 메시지를 보낸 것은 최근 북미 간 접촉에 나름 성과가 있다는 반증"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