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경사노위, 조만간 민노총도 함께 사회적 대화 시작될 것"

기사등록 2018/11/22 10:10:32

"화해치유재단 해산, 日 아닌 다른 국가와 공조체제 강화해야"

【서울=뉴시스】홍효식 기자 =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왼쪽)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당정협의에 참석해 김태년 정책위의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8.11.21.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홍효식 기자 =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왼쪽)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당정협의에 참석해 김태년 정책위의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8.11.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은 한주홍 기자 =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2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출범과 관련 "조만간 민주노총도 함께해 명실상부한 사회적 대화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한다"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다함께 잘사는 혁신적 포용국가의 실현을 위한 경사노위가 오늘 공식 출범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 우리 사회는 양극화, 저출산 등 구조적 중층적 위기요인이 있다. 경험을 못해본 위기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게 바로 사회적 대화의 대타협"이라며 "닻올리는 경사노위에 거는 국민 기대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어 "한 가지 아쉬운 건 노동계 한 축인 민주노총이 내부논의절차로 인해 오늘 출범에 함께 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가 경사노위에 함께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만큼 조만간 명실상부한 사회적 대화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의장은 "앞으로 경사노위에서 국민연금 개편, ILO 협약, 노사관계 재도 개선, 노동시간 제도 개선 등 쉽지 않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면서 "양보와 타협, 대화와 토론을 통한 상생협력이야말로 한국사회의 유일한 탈출구"라고 강조했다.

또 김 의장은 정부의 화해치유재단 해산 공식 발표를 높이 평가하면서 "위안부 문제의 최종 해결책이 아닌 새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재단의 해산 결정으로 일본의 외교적 공세가 커질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 중국과 동남아 등 일본 전쟁에 피해를 입은 다른 국가와 공조체제를 강화하고 남북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공동조사하고 협력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일본에도 촉구한다. 한일간 외교적 사항을 넘어 인류의 보편적 양심과 정의에 직결한다. 진정한 반성과 사과, 이에 따른 화해와 용서 없이 돈 몇 푼 해결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김태년 "경사노위, 조만간 민노총도 함께 사회적 대화 시작될 것"

기사등록 2018/11/22 10:10:32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