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싱가포르 여정 2박3일되나

기사등록 2018/06/11 21:20:00

최종수정 2018/06/11 21:53:06

【서울=뉴시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중국전용기로 평양을 출발한 모습을 11일 보도했다. 2018.06.11. (출처=노동신문)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중국전용기로 평양을 출발한 모습을 11일 보도했다. 2018.06.11. (출처=노동신문)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지현 기자 = 12일 개최되는 북미 정상회담이 하루 만에 끝날지, 협의가 길어져 이틀 연속으로 열릴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북미 정상회담은 12일 오전 시작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일정 전체가 철저히 비밀에 부쳐지고 있어 정상회담이 어떻게 진행되고 언제 종료될지도 알 수 없다.

 다만 일부에서는 이틀 연속보다는 하루 회담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일 오후 2시에 귀국할 것이란 소식도 전했다.

 일단 예상보다 짧게 끝날 가능성이다. 북미 정상이 오전 9시 단독회담 자리에서 상호 간 비핵화 및 체제보장 의지가 없다고 판단해 정상회담이 조기 종료되면서 소득 없이 두 정상이 헤어진다면 김 위원장은 12일 바로 싱가포르를 떠날 수 있다.

 실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10일 싱가포르에 도착해 "1분이면 (비핵화 진정성을) 알아차릴 수 있다"고 발언, 정상회담이 속전속결로 진행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한반도 비핵화에 전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북미 정상회담이 이처럼 쉽게 파국으로 치닫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큰 것이 대체적 관측이다. 

 북한 내부적으로도 김 위원장이 집권 후 공개적으로 해외를 방문하는 첫 일정인 만큼 '빈 손' 회담으로 결론나기를 원하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북미 정상이 오전 단독회담에서 우호적인 인상을 받는다면 오후에는 참모진들이 배석한 확대회담을 열고 비핵화 및 체제안정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하게 된다.

 통상 정상회담 관례대로 공동합의문을 발표하거나 공동기자회견을 연다면 12일 오후까지도 회담 일정은 이어지게 된다.
【싱가포르=AP/뉴시스】10일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가운데 왼쪽)이 비비안 발라크리쉬난 싱가포르 외무장관으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다. 김 위원장 뒤쪽으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계단을 걸어내려오는 모습이 보인다. 김 위원장은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2018.6.10
【싱가포르=AP/뉴시스】10일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가운데 왼쪽)이 비비안 발라크리쉬난 싱가포르 외무장관으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다. 김 위원장 뒤쪽으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계단을 걸어내려오는 모습이 보인다. 김 위원장은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2018.6.10
일각에서는 북측 수행단에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 포함된 것을 두고 정상회담이 잘 풀리고 만찬까지 진행할 경우 선보일 북측의 공연을 고려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렇게 단독회담, 확대회담에 이어 공동합의문 발표 및 만찬에 이르는 통상 일정을 다 소화할 경우 12일 저녁시간 대를 훌쩍 넘긴다. 물론 김 위원장이 회담만 마치고 오후에 떠날 수 있고 다른 일행은 시차를 두고 하루 더 묵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김 위원장의 싱가포르 체류는 2박3일이 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 3월 북중 정상회담 참가를 위해 처음으로 평양을 비웠다. 그는 당시 3박4일 일정으로 베이징을 방문했다. 이후 5월에는 다롄을 방문했지만 1박2일에 그쳤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김정은 싱가포르 여정 2박3일되나

기사등록 2018/06/11 21:20:00 최초수정 2018/06/11 21:53:06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