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인권단체, 5·18 민주화운동 진상 알리는 매개체 역할"

기사등록 2018/04/24 14:57:07

5·18재단, 미국 UCLA 동아시아도서관 한국민주화운동 자료 분석

"초국적 네트워크 구성, 광주항쟁에 대한 정치·사회적 각성 고취"

【광주=뉴시스】신대희 기자 = 사진은 1980년 5·18 당시 광주 동구 금남로 전일빌딩에서 시민들이 계엄군에 끌려가는 모습 (사진 = 5·18 기념재단 제공 사진 촬영)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신대희 기자 = 사진은 1980년 5·18 당시 광주 동구 금남로 전일빌딩에서 시민들이 계엄군에 끌려가는 모습 (사진 = 5·18 기념재단 제공 사진 촬영)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신대희 기자 = 1970~1980년대 북미지역 인권 단체들이 초국적 네트워크를 구성해 광주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을 알리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5·18기념재단 최용주 비상임연구원은 24일 '미국 UCLA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한국민주화운동 자료 분석 보고서'를 공개하고 이 같이 주장했다.

 '북미지역 인권단체의 광주항쟁 연대 활동과 그 영향력'을 주제로 한 보고서 내용을 보면, 1980년 5·18 당시 북미지역에서 기독교 계통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 개선을 후원하는 인권 단체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다.

 이 단체들은 일본·유럽 등지의 인권단체와 초국적 후원네트워크를 구축, 광주항쟁에 대한 대한 정치·사회적 각성을 고취시키기 위한 활동을 벌였다.

 5·18 당시 철저하게 고립된 광주에서 한국의 인권·종교 단체, 민주 인사 등과 긴밀히 협조해 인권 탄압 사례나 정치적 사건을 신속하게 수집·확산시켰다. 

 워싱턴 정가와 한국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인사·집단에게 관련 정보를 전달, 전두환 신군부의 책임을 묻고 한국의 민주화를 요구했다.  

 미국 시카고 지역에서 활동하던 'Church Committee on Human Rights in Asia'가 1980년 5월20일 발행한 'Korea: Action Alert' 소식지에는 '5월18일 비상계엄 전국 확대에 따른 예비검속자 명단과 함께 광주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로 3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적혀 있다.

 또 '백악관·국무부·의회를 상대로 신속한 로비활동이 필요하다'는 행동지침도 전달하고 있다.

 80년 5월23일에는 광주에 거주하는 여성이 계엄군의 만행과 광주시민의 항쟁 정신을 영어로 작성해 외국 특파원에 건넨 편지가 일본 천주교정의평화협의회로 전달됐다.

 이 편지 내용을 일본 'NHK'가 80년 5월26일 보도했으며, 텔렉스망을 통해 미국과 유럽의 인권단체로 전파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1975년 설립돼 워싱턴DC에 본부를 둔 '한국인권을 위한 북미연맹'은 각종 집회, 광주 희생자 추모 예배, 정기간행물 배포 등을 통해 신군부의 만행을 널리 알렸다.

 성명·탄원서·항의서한을 통해 5·18 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지속적으로 촉구했다.

 5·18 항쟁 직후인 80년 6월22일 미국 인권단체 소속 의사 2명이 광주를 찾아 일주일간 항쟁 경위를 조사한 뒤 '8쪽 분량의 진상조사 보고서(Fact-Finding Mission on Kwangju, Korea)'를 발간하기도 했다.

 이 단체는 보고서에서 '계엄군들이 일반 탄환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치명적인 연성탄을 발포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80년 7월에는 퀘이커교 인권단체인 'Quaker International Affairs Program, East Asia' 소속 활동가 2명이 광주·서울을 찾아 '광주항쟁 구속자들이 심한 고문으로 인권을 유린당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전파했다.

 특히 이 보고서에는 '서울서 미국대사관 직원들을 인터뷰한 내용을 싣고 있는데, 안보와 경제적 이해의 관점에서 광주의 무력진압을 정당화시키는 미국 대사관 관료들의 제국주의적 인식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기록돼 있다.

 80년 10월에는 일본 ECC 소속 활동가들이 한국을 찾아 계엄군의 과잉진압 실태, 구속자들의 인권 탄압, 김대중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의 재판소식, 헬기사격 목격담 등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최 연구원은 "인권단체의 이러한 활동은 광주항쟁 이후 미국의 대한(對韓) 정책 변화를 촉구하고, 인권단체 간 네트워크를 공고화했다. 향후 한국 민주화·인권 운동의 외연을 확대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5·18기념재단은 '북미지역 인권단체의 활동이 미국의 대한 정책 수립 및 한국의 민주화 운동·인권 개선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한 보고서를 추가로 발간할 계획이다.

 초국적 후원네트워크에 참여했던 주요 활동가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정책의 수립·집행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정부 문서에 대한 내용을 분석할 방침이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북미 인권단체, 5·18 민주화운동 진상 알리는 매개체 역할"

기사등록 2018/04/24 14:57:07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