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월하려는 과학과 반성하는 철학의 대격돌

기사등록 2017/12/12 11:37:52

【서울=뉴시스】신효령 기자 = "커피숍과 학교의 위치에 대한 제 연구에서도 특정한 학교 하나가 어디에 올지에 대한 예측은 하지 않습니다. 통계물리학자들은 그런 학교들이 모여서 어떤 패턴을 보여주는지를 보고 싶어 합니다. 개별적인 예측이 전혀 아닙니다. 그럼 많은 통계물리학자들이 거시적인 통계적 성질도 의미 있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통계적인 패턴 자체가 일종의 기준선이 되는 겁니다."(164쪽)

인터파크도서의 과학전문 출판브랜드 반니출판이 카오스재단과 함께 '과학은 논쟁이다'를 출간했다.

올해 봄, 과학의 대중화가 모토인 카오스 재단의 주최로 과학과 과학철학이 맞붙는 논쟁의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은 논쟁이다'라는 타이틀 아래, 한국의 쟁쟁한 과학자와 과학철학자가 2라운드씩 4주에 걸쳐 진행된 토론회는 매주 논쟁적인 주제와 불꽃 튀는 논리 대결로 일반 청중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과학은 논쟁이다'는 그 토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토론 당시의 주고받은 설전을 현장감 있게 옮겼고, 토론자의 감수와 보완을 거쳐 명실상부 한국 과학계의 논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교양 과학 텍스트로 재탄생했다.

총 8라운드에 걸친 토론은 물리법칙의 존재 유무에서부터, 양자이론의 완벽성, 사회현상을 설명하려는 과학의 시도,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려는 생물학에 이르기까지 과학자와 과학철학자가 첨예하게 부딪히는 주제들로 구성됐다.

물리법칙이 과연 자연에 존재하는지, 물리학자 이강영 교수와 과학철학자 홍성욱 교수간의 첫 논쟁부터 매우 치열하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우리가 지금껏 알고 있는 과학은 정말로 맞는 것인지, 과학은 철학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계속 확장하고 초월하려는 과학의 고삐를 과연 과학철학이 쥘 수 있는지 등 과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다.

"과학은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말씀하셨지만, 저는 과학만이, 생물학만이 미래에 대해서 말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분야도 단독으로 제대로 된 답변을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정말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생물학과 인문학 그리고 다른 여러 학문과 기술이 합해졌을 때 미래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것 없이는 이야기가 완전하지 않다는 대답을 드리고 싶습니다. "(198쪽)

책에서 과학철학자들은 우리가 의심하지 않았던 명제들을 처음부터 뒤집어 생각한다. 홍성욱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는 물리법칙이 과연 자연에 존재하는 것인지, 인간은 만든 것은 아닌지 따져보고 과학에서 본다는 것 또한 해석에 가까운 행위임에도 본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렇다고 모든 과학철학자가 과학을 반성하는 자세로만 바라보는 것은 아니다. 장대익 교수(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는 송기원 교수(연세대학교 생화학)와의 논쟁에서 생물학을 활용해 인간의 능력을 발휘하는 데 적극 찬성한다. 오히려 과학자인 송기원 교수가 유전자 조작 등 과학의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적 상황을 우려하며 인간의 가치를 구현하는 데 관심을 뒀다.

언어를 다루는 과학철학자들에 비해 과학자들의 논리가 약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기우에 불과하다. 이해하기 힘든 양자역학에 대해서 김상욱 교수(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는 수식 하나 없이 효과적으로 설명하면서, 양자역학이 세계를 기술하는 중요한 이론임을 설득한다.
 
과학자와 과학철학자의 논쟁은 총 8라운드에 걸쳐, 때로는 훌륭히 서로의 주장을 논박하기도 하고, 때로는 동감하면서 진행된다. 토론회 현장에서 진행된 질문에 대한 답도 책에 충실하게 실렸다. 244쪽, 반니, 1만5000원.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초월하려는 과학과 반성하는 철학의 대격돌

기사등록 2017/12/12 11:37:52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