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항 2019년 활주로 한계…'제주 신공항 연구용역' 중간보고서

기사등록 2011/10/05 14:09:32

최종수정 2016/12/27 22:50:29

【제주=뉴시스】강정만 기자 =  제주공항의 주요 시설 중 활주로는 이륙과 착륙 횟수 등을 감안할 때 2019년 한계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제주 신공항 개발 구상 연구용역'을 벌인 국토연구원은 5일 '제주 신공항 개발 구상 연구용역' 중간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1월5일 확정한 제4차공항개발중장기(2011~2015년) 종합계획은 포화시점을 2025년으로 전망했지만, 이 보고서는 계류장, 여객터미널, 주차장 등의 용량은 2030년까지 수요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의 여객, 화물, 운항횟수는 2060만명, 43만7000톤, 15만8000회로 각각 예상했다. 제4차 중장기종합계획(1890만명, 23만9000톤, 14만8000회) 보다 세 가지 모두 훨씬 많았다.  이 보고서는 이에따라 "활주로 시설의 추가 건설은 많은 제약 조건과 높은 비용을 수반한다"며 "제주공항의 포화시점이 활주로 용량의 포화시기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며, 2019년 이후 포화에 대비한 제주공항의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시행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기존 공항을 확장하는 대안을 제시하고 신공항 후보지도 제시했다.   후보지 4곳의 유형은 △내륙형(면적 23.52㎢) △해안형1(13.3㎢) △해안형2(13.99㎢) △해상형(8.61㎢)으로 분류했다.  내륙형은 접근성, 지형성이 우수하나 대상지 주변에 세계자연유산이 분포해 있기 때문에 확장성은 낮다는 평가를 내렸다. 공항건설 사업비를 7조300억원으로 예상했다.  해안형 1은 장애물 저촉이 적고, 논과 밭으로 이뤄진 평탄한 지형이 장점이지만 일부 소음피해지역이 존재한다는 단점을 지녔다. 예상 사업비는 3조7050억원이다.  해안형 2는 확장성이 우수하고 장애물 저촉률이 낮으나 일부 공역이 중첩되고 일부 녹지 훼손이 있을 수 있다고 봤다. 4조563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  해상형은 기상여건이 좋고 공항소음피해가 적지만 해상 매립으로 인한 사업비 과다가 단점으로 꼽혔다. 무려 18조2299억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기존공항과 신공항으로 운영을 이원화(복수공항)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복수공항의 경우 도심 인근 공항의 소음 문제 해결, 기존공항의 용량 한계 해소, 대규모 공항의 허브기능 강화 등 이점이 많다며 현 공항의 수요 분포를 고려해 국내선과 국제선을 분리해 배치할 것을 제안했다.  제주도는 내년 1월 용역이 마무리되면 그 결과를 갖고 정부를 상대로 신공항 조기건설의 필요성을 설득할 방침이다.  제주도 신공항건설추진단은 6일 오후 이 중간보고서를 가지고 제주도청에서 중간보고회를 갖는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제주공항 2019년 활주로 한계…'제주 신공항 연구용역' 중간보고서

기사등록 2011/10/05 14:09:32 최초수정 2016/12/27 22:50:29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