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될 가능성 높아져
대출비용 고정화시키거나 현금 비중 늘려야
확산되고 있는 은행권 대출 제한에도 유의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장기간 지속된 초저금리 시대는 끝났다. 한국은행은 2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연 0.75%로 결정하고,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금융불균형 누적을 완화시켜 나가야 겠다는 필요성 때문에 이제 첫 발을 뗀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지만 실질금리는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통화금융 상황이 완화적"이라고 평가했다.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다.
기준금리 추가 인상 시점은 시장의 관심사다. 과거 금리 인상기 때 다음 인상까지 소요된 기간이 길지 않았다는 점을 보면 두 번째 금리 인상까지 3개월 이상 소요될 가능성이 현재로선 낮은 상황이다.
금융시장 전문가 상당수는 한은이 오는 11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백신 접종 확대 효과나 2차 추경 등 효과에 따라 10월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열려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0.75%인 기준금리가 한 차례 더 올라가 1%가 된다면 '영끌족'들의 이자 부담은 눈덩이로 커질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와 시장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 인상에 대비해 대출비용을 고정화시키거나 현금 비중을 늘리라고 조언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이미 시장에서는 채권금리가 인상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이 반영됐다"면서도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한 만큼 그에 따른 선반영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관리 측면에서 보면 향후 금리가 떨어지건 아니건 대출비용을 고정화시키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며 "변동금리를 선택해서 금리 인하 혜택을 봤을 수도 있지만 금리가 크게 오르면 불리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대출이자가 어떻게 될 지 모른다고 생각하면 그것만큼 불안한 것도 없다고 본다"며 "특히 주담대는 장기간 빌리고 금액도 수억원대인 만큼 변동형 금리보다는 혼합형 금리를 추천한다"고도 강조했다.
혼합형 금리는 처음 5년간 금리를 고정한 뒤 변동형 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이다. 당장은 변동형금리의 이자 부담이 더 적은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 같이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는 향후 금리 추이를 지켜보는 게 나을 수 있다는 시각이다.
금리 상승기에 접어들면서 무턱대고 고정금리 등 다른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기준금리 인상 폭을 주시하면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대출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설명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 얘기가 있을 때마다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타는 게 낫다는 단골 레퍼토리가 나오지만 과거 변동금리를 고정금리 대출로 바꿨을 때 그리 성공적인 경우가 없었다"며 "되려 손해를 본 사람들도 있었고 대출 상품을 갈아탈 때 중도상환수수료를 내야 해 금리가 오른다고 해서 무조건 갈아탈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요소를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출자 개개인 별로 상황이 다 다르기 때문에 무엇이 정답이라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형리 농협은행 WM 수석전문위원도 "본인이 중도상환수수료가 있는지 확인해봐야 하고, 다시 대출이 가능한지도 살펴봐야 한다"며 "대출자마다 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은행권은 확산되고 있는 대출 제한에도 유의하라고 입을 모은다. 금융당국 주문에 5대 은행을 비롯해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까지 다음달 중으로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이내로만 취급할 계획인 가운데 추가 조치도 예상돼서다.
한 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율을 전년 대비 5~6%로 못박았으니 은행 입장에서는 지킬 수 밖에 없다"며 "농협은행이 주담대를 중단한 이후 연쇄적으로 증가율이 올라가서 한도가 목전에 차면 어떤 은행도 대출 중단을 안 한다고 장담 못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sy625@newsis.com, you@newsis.com, silverlin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