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진 서울대병원 교수 페이스북 입장
"유교적 사제관계 아냐…수련제도 바꿔야"
"전공의 교수선택…수준미달 전공의 유급"
"독일식 연차별 수련제로 개선해야" 제안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의정갈등이 1년째 지속되고 있는 21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5.02.21. jhope@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21/NISI20250221_0020708737_web.jpg?rnd=20250221134022)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권용진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국내 전공의 교육 시스템을 '연차별 수련제도'로 바꿔야 한다"면서 "더 이상 유교적 '사제 관계'가 교수와 전공의 간의 관계가 아니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 만큼 일본 도제식과 미국 계약식을 혼합한 국내 수련제도와 맞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어제 오늘은 참 슬픈 날"이라면서 "함부로 말하는 소수의 전공의와 가르치는 일에 관심 없는 소수의 교수 탓에 교수와 전공의 전체 간 갈등이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 냉정하게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오는 21일부터 국내 주요 대학들의 의대생 복귀 시한이 돌아오지만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미미한 수준이다. 건국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등 일부에선 복귀를 선택한 의대생들을 학년별 입장문을 통해 비판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이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소속 강희경 소아청소년과 교수 등 4명은 대안 없이 복귀를 막는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고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페이스북을 통해 이를 반박하면서 의료계 내부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권 교수는 "지식, 술기, 태도가 부적합한 전공의를 걸러내고 가르칠 능력이 없는 교수들이 가르칠 수 없도록 계약관계에 맞게 수련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면서 "독일처럼 병원을 바꿔 이동하며 수련받는 제도를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전공의가 연차별로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점수를 높이고 병원을 이동하면서 수련받을 수 있도록 하면 서열화를 막을 수 있다는 이유다.
전공의가 수련병원과 가르칠 교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교수도 수준 미달인 전공의를 유급시킬 수 있어야 전공의 수련의 질 관리가 가능해진다고 권 교수는 보고 있다.
그는 "필수 획득하는 점수제도는 주당 근무시간 같은 노동시간 규제를 받지 않아야 한다"면서 "8시간이 넘는 수술도 처음부터 끝까지 참여하고 수술한 환자를 날을 새면서 케어할 수 있는 직업정신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수는 날 새며 수술하고 전공의는 8시간마다 교대하는 수련제도 하에선 지식과 술기도 직업 정신도 가르칠 수 없다"고 했다.
권 교수는 의대 교수 임용의 필수조건인 박사학위도 바꿔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오히려 전임의 과정을 거쳤는지, 관련 수술을 몇 건 했는지, 관련 논문 실적이 어느 정도인지 이런 게 필수 조건이 돼야 옳다고 본다"면서 "박사학위 필수조건 때문에 전공의들이 교수에게 더 종속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