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탄소중립·에너지 정책 세미나 개최
"에너지 사업 30년…탄소중립 인식 바꿔야"
최 회장은 30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2024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에서 "저는 30년 이상 에너지 사업을 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에서 에너지 사업을 해서는 전 세계 메이저가 될 수 없다. 해외 나가서 자원 개발을 열심히 해봤지만 상당한 한계를 느꼈다"며 "탄소중립은 분명 하기 싫은 숙제지만 오히려 새로운 기회"라고 강조했다.
탄소중립을 '하기 싫은 것'이 아닌, 미래 산업이 우리에게 주는 기회 중 하나로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이다.
최 회장은 "에너지는 누구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고, 우리는 룰을 만드는 게 아닌 룰을 받는 존재"라며 "이걸 바꿔야 하는데 탄소중립은 오히려 산업을 바꿀 수 있고 에너지를 무기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AI디지털센터의 경우 에너지가 추가로 많이 들어가서 기후에는 나쁜 시그널이지만, AI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전환해야 한다"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라 차원에서는 인센티브를 통해 탄소중립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 회장은 "어차피 석탄, 화력발전을 없앨 수는 없고 이걸 줄이게 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며 "원자력은 탄소배출 정도에 따라 점수를 달리 주면 된다"고 제안했다.
송전원의 경우 "지금처럼 중앙송전망에 의존하도록 하면 안 된다. 분산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분산하면 살고 있는 동네나 쓰는 패턴에 따라 전기값이 달라지는데 이를 AI에 접목시키면 전력 낭비를 덜 하고 에너지를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사전적 지원은 탄소를 줄이는데 얼만큼 기여했는지 알 수가 없다"며 "사후적으로 분명하게 결과치를 냈을때 어떤 지원을 주겠다고 약속하는 게 더 좋다. 이렇게 되면 인센티브를 얻기 위한 투자가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탄소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고 하면 10년 후 현금을 가져간다고 할 수도 있고, 10년 후가 아니라 중간에 주는거면 NFT나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도 있다"며 "10년 후 정산이 끝나는 블록체인에 모여서 아이디어를 짜내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자리나 투자가 많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사후적 지원을 위해 누가 얼마나 줄였냐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10년 후 어느 정도의 결과를 만들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이 체계가 잘 만들어진다면 대한민국은 에너지 강국이 되는 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