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동덕여대 박주헌 교수에게 의뢰해 내놓은 '탄소중립 새로운 에너지정책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문재인정부의 에너지정책의 핵심은 탈원전과 탄소중립인데 해당 조합에서 탄소중립 에너지믹스는 재생에너지가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계획상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은 30.2%에 이를 전망이다. 당초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인 20%를 50% 이상 상향 조정한 수준으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30% 넘게 높이려면 약 106GW의 태양광 및 풍력 설비가 필요할 것이라는 게 보고서의 추산이다.
이는 재생에너지 3020 목표(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 달성에 필요한 태양광 설비 34GW과 풍력 설비 24GW의 약 2배에 이른다.
동덕여대 박주헌 교수는 "현재 풍력은 연간 200㎿ 내외, 태양광은 연간 4GW 정도가 보급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재생에너지3020 달성을 위한 2030년의 재생에너지 목표 용량인 50GW도 넘기 어려워 보인다"며 "약 60GW의 추가증설이 요구되는 재생에너지 30.2%는 달성 불가능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탈원전 기조 하에서 무탄소 전력 생산계획은 태양광 위주로 갈 수밖에 없어 전기료를 2배 이상으로 대폭 인상하고 발전시설 설치면적 확보 및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에 막대한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간헐적 발전원인 태양광을 대규모로 확충하려면 반드시 대규모 ESS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에너지믹스에서 태양광 비중을 50%에서 30%로, 풍력 비중을 15%에서 8%로 줄이는 대신 원자력 비중을 10%에서 40%로 늘리면 전력 과부족의 변동폭이 축소돼 ESS 필요용량이 3471GWh에서 1983GWh로 감소해 ESS 설치비용이 약 600조원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가 전망한 원전 비중 7%를 탈원전 정책 수립 전인 2015년 작성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원전 비중 28.2%로 높이고 그 차이만큼 재생에너지 비중을 낮출 경우 발전비용 절감액은 2050년 기준 연간 13조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실적으로 NDC달성을 위한 방안 중 하나가 원전의 수명연장이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2030년까지 폐로가 예정돼있는 원전은 10기를 폐로하지 않고 계속 운전할 경우 태양광 45.1GW나 풍력 29.4GW의 설비 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태양광과 풍력의 추가 설비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어야 2030년 NDC 달성 확률이 그나마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현재로는 원전을 최대한 안전하게 적정 수준으로 사용하면서 탄소중립에 대처하는 길이 유일해 보인다"며 "기존 원전의 운영허가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k76@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