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113만대·수소차 20만대 보급…노후경유차 퇴출 총력

기사등록 2020/07/22 14:00:00 최종수정 2020/07/22 15:27:45

친환경 미래차 보급에 2025년까지 20조3천억 투입

수소충전소 확충 집중…저공해차 보급목표제 강화

사업용 수소차에 연료보조금 지급…안전성도 강화

[제주=뉴시스] 제주 신재생 EV융복합스테이션 모습. (사진=제주도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 113만대를 보급하는 한편, 이를 뒷받침할 충전시설 4만5000기를 확충한다.

전기차와 함께 미래차의 한 축인 수소차도 2025년까지 20만대를 보급하기 위해 수소충전소 450기를 구축하고 사업용 수소차에 연료보조금을 지급한다.

이와 더불어 2024년까지 노후 경유차 제로화를 추진한다.

환경부는 이처럼 친환경 미래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재정을 투입하고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친환경 미래차 확대는 앞서 지난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10대 대표과제 및 그린뉴딜 8대 추진과제의 하나다.

환경부는 자동차 산업구조를 전환해 시장 경쟁 우위를 확보하면서 1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2025년까지 승용차, 버스, 화물차 등 전기차 113만대를 보급하기 위해 급속 충전기 1만5000기, 완속 충전기 3만기 등 충전시설 4만5000기를 확충한다. 이를 위해 최대 2025년까지 보조금 지원 시한을 연장하고, 지원 물량을 대폭 확대한다.

전기차 충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2025년까지 전시·체험 시설을 모두 갖춘 명소(랜드마크)형 충전소 4곳도 구축한다.

국산 전기차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동차 성능, 부품 개선에 필요한 기술개발 사업에 1300억여원을 지원한다. 또 신규 공동주택에 충전기 의무설치 범위와 수량을 확대하고, 충전 방해행위에 매기는 과태료 부과기준도 확대한다.

자동차 판매사에 일정 비율 이상 저공해차를 판매하도록 한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 강화한다. 올해 목표치는 15%다.

전기차보다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시간이 짧은 수소차는 2025년까지 중·대형 SUV 중심의 승용차, 중·장거리 버스, 중·대형 화물차 보급을 20만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수소버스는 올해 시내버스를 시작으로 중·장거리 버스까지 범위를 확대해 2025년까지 4000대를 보급한다. 지난 5월부터 수도권-충청권에서 시범사업 중인 중·대형 화물차도 2025년까지 645대 보급한다.

사업용 수소차를 대상으로 연료보조금을 지급한다. 수소버스 기준 ㎏당 3500원 수준으로 내년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도 2025년까지 450기로 늘려 구축할 계획이다. 다만, 수소충전소 설치 장소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부지 확보, 정책협의회 운영, 구축 전 안전성 평가제 도입, 정밀안전검사 등을 실시한다.

이 밖에 화석연료를 이용해 수소 생산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모아 활용하는 '블루(Blue)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바이오가스, 재생에너지로 수소를 생산하는 '그린(Green) 수소충전소'도 확대한다.

전기·수소차를 늘리면서 동시에 노후 경유차 퇴출도 가속화해 오는 2024년까지 '노후 경유차 제로화'를 달성한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노후 경유차 116만대를 대상으로 폐차 보조금을 지원하고, 31만5000대엔 매연저감장치(DPF) 부착을 지원한다.

내년부터 2025년까지 1t 트럭 13만5000대와 어린이 통학차량 8만8000대를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

환경부는 이번 노후 경유차 퇴출 가속화에 따라 연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지난 2016년 26㎍/㎥에서 2024년 16㎍/㎥로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는 2025년까지 총 20조3000억원을 투입해 15만1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종원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전기·수소차 확대를 포함한 자동차 부문 친환경 전환은 탄소중립(Net-zero) 사회로의 이행과 함께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는 그린뉴딜의 대표주자이자 일석이조 사업"이라면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와 기후·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계·지자체 등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전환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sw@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