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행 택한 김정은…文대통령 중재외교에 또 '먹구름'

기사등록 2019/04/17 19:47:42 최종수정 2019/04/22 10:14:35

러시아 신문 17일 '다음 주 북러 정상회담' 가능성 보도

'하노이 노딜' 원심력 작용?…北, 대화궤도 이탈신호 우려

文대통령 '4차 남북회담, 남북미 3자 회담' 공개 거론 무색

【프놈펜(캄보디아)=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모습. (사진=뉴시스DB). 2019.03.15.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비핵화 대화 재개를 위해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반갑지 않은 상황 전개를 맞게 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러 정상회담 소식이 전해졌다.

문 대통령이 공개 제안한 4차 남북 정상회담이 우선 순위에 밀려 사실상 성사가 어려워진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온다.

러시아 일간 이즈베스티야는 17일(현지시간)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다음 주 러시아를 방문, 푸틴 대통령과 첫 북러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는 26~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예정된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상포럼에 참석하기에 앞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외교소식통을 인용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집권 후 처음으로 북러 정상회담을 추진한 것은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차 회의 시정연설에서 밝힌 외교 다변화 구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하노이 노딜' 이후에도 최대압박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테이블에서 벗어나 전통 우방국인 러시아와 함께 미국 중심의 국제사회 제재국면을 탈피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은 시정연설에서 "적대세력들의 제재해제 문제 따위에는 이제 더는 집착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나라(북한)의 자주권을 존중하고 우호적으로 대하는 세계 모든 나라들과의 친선과 협조의 뉴대(유대)를 강화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세계 모든 평화애호력량과 굳게 손잡고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미국과 함께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P5(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중 하나로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의 지속 이행 여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의 북러 정상회담에서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 해제 방안에 대한 논의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판문점=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 (사진=뉴시스DB). 2018.04.27.  photo1006@newsis.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러시아로 급파한 것도 북러 결속을 의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 국무부는 16일(현지시간) "비건 특별대표가 러시아 당국자들을 만나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7∼18일 모스크바를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김 위원장의 러시아행은 북미 대화 궤도이탈을 우려한 문 대통령의 중재 외교 노력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노이 노딜'의 원심력을 받아 북미 대화 궤도를 일정 부분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형식 논리를 떠나 4차 남북 정상회담을 하자는 문 대통령의 공개 제안을 김 위원장이 수용할지 여부도 지금으로써는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칫 남북→북미→남북미 정상회담 수순을 통해 비핵화 동력을 불어넣겠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도 일정 부분 차질이 불가피해 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러 선택지들이 불투명해지면서 문 대통령이 향후 취할 수 있는 운신의 폭이 상당히 좁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을 앞둔 지난 15일 청와대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결단에 따라 남북미 3자 정상회담도 가능하다는 뜻을 한미 정상회담에서 밝혔다고 소개한 바 있다.

이를 두고 북한이 전통 우방국인 북·중·러와의 본격 연대방안을 모색하기 전에 다시금 기존 남북미 대화 틀 안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지만 제대로 설득도 해보기 전에 불투명하게 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kyustar@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