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절체절명]사드보복 '집중포화'…롯데, 中사업 접어야 하나

기사등록 2017/03/06 06:48:39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롯데그룹의 고고도미사일(THAAD·사드) 부지 제공과 관련,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롯데면세점 홈페이지가 중국 지역의 IP를 사용한 디도스 공격을 받는 등 중국 당국의 보복 조치가 잇따르면서 롯데그룹의 중국사업 전반에 걸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3일 서울 소공동 롯데그룹 본사. 2017.03.03.  bluesoda@newsis.com
1994년 中 진출 이후 '최악의 위기'
"'롯데 中사업 철수'도 고민해야 한다"

【서울=뉴시스】양길모 기자 = 롯데그룹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부지 제공과 관련해 중국 측의 보복 조치가 잇따르며 롯데그룹의 중국사업 전반에 걸친 위기감이 극도로 커지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롯데 때리기'에 소비자 불매운동을 부추기고 있으며, 롯데의 중국 내 브랜드 이미지가 망가져 향후 사업 전망도 어렵다는 식의 공세를 펼친다.

 중국 내 반한 감정도 극심해졌다. 롯데그룹 중국 홈페이지가 해킹당하고 롯데면세점 모든 사이트가 디도스(DDos)공격으로 3시간여 마비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

 여기에 산둥(山東)성의 칭다오(靑島) 검험검역국은 최근 롯데제과 요구르트 맛 사탕에서 금지된 첨가제가 적발됐다며 소각 조치했으며, 롯데마트 화동법인 2곳과 동북법인 2곳 총 4곳에서 소방법 위반 등의 이유로 영업 정치 처분을 받았다.

 롯데그룹 측은 사드부지 제공에 따라 중국 당국이 취할 보복성 조치를 우려해 어떠한 입장 표명도 하지 않았지만, 사드 배치 부지가 경북 성주군 성주골프장으로 확정되면서 롯데그룹 전체가 중국의 표적이 되고 있다.

 6일 롯데그룹 등에 따르면 롯데는 1994년 중국에 첫 진출한 이후 약 10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해왔다. 현재 22개 계열사가 진출해 120여개 사업장, 2만6000여명의 임직원을 두고 있다.

 톈진(天津), 웨이하이(威海), 청두(成都) 등에서 백화점 5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롯데마트 112개, 롯데슈퍼 13개, 롯데리아 18개, 롯데시네마도 현재 12개점, 90여개 상영관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식품 및 화학계열사인 롯데제과·롯데칠성·롯데케미칼·롯데알미늄 등도 모두 중국 내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 당국의 보복 조치가 지속된다면 '선양 롯데타운 프로젝트' 일부 중단 등 롯데그룹의 중국사업 전반에 걸친 위기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선양 롯데타운 프로젝트'는 동북부 선양에 백화점을 비롯해 테마파크, 쇼핑몰, 호텔 등 롯데의 관광·유통 노하우가 총 집결된 대형 프로젝트다.

【선양(중국)=뉴시스】사진공동취재단 = 31일 이날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개장한 롯데백화점 중국 5호점에서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맨 앞줄 오른쪽)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2014.06.01.  photo@newsis.com
 하지만 선양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는 중국 자회사 '롯데 프로퍼티 선양'은 설립 이후 줄곧 자본잠식에 빠졌다. 2013년 100억4100만원, 2014년 200억8800만원의 당기순손실은 물론 2014년 말 부채규모는 6990억7600만원으로, 자본규모인 1598억300만원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반기 기준으로 남아있는 종속기업의 자본금 총액은 1조3233억원으로 그간 청산한 법인까지 고려할 때 그동안 중국에서의 누적 손실액은 1조원이 넘는다는 분석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특검수사로 인해 출국금지를 당한 상황이라 중국 유력 정치인들과의 만남뿐 아니라 현지 사업장에 대한 점검조차 못하고 국내에만 머물러 왔다. 그룹의 위기는 가중되고 있는데 수장의 손발은 묶여버린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선 롯데가 중국사업 철수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애초에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선 중국이 제조업이 아닌 유통업의 진출을 탐탁치않게 생각했다는 얘기다. 중국 당국의 자국 산업 보호조치는 이번 사드 문제뿐 아니라 한·미·중 역학관계 속에 향후 비슷한 외교·안보적 상황이 벌어졌을 때 언제든지 꺼내들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의 무역 보복성 조치는 사드 배치 여부에 따른 '변수'아닌 '상수'로 보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각종 인허가 등에서 중국 당국과 마주쳐야 하는데 중국시장은 한마디로 '거대한 개성공단'이라며 앞으로도 정치적 리스크를 떠안은 채 사업을 지속하기에는 상황이 녹녹치 않다"면서 "결국 외국 유통기업이 중국시장에 뿌리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사드 문제에 따른 중국 당국의 보복조치로 가뜩이나 부실했던 롯데의 중국 사업이 최악의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며 "중국 사업이 실패로 돌아간다면 그 책임에 대한 화살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게 전가돼 경영권 분쟁을 이어가는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에게 공격의 빌미를 제공하게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dios102@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