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퇴진 외에도 '대기업 총수·우병우 엄단' 의제
탄핵 이후 행보도 고심…"대선 과정 지켜봐야"
【서울=뉴시스】심동준 기자 = 지난해 10월29일부터 서울 도심에서 매주 토요일 열리던 촛불집회가 석 달만에 처음으로 쉰다.
주최 측인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주말 촛불집회를 설날인 28일에는 열지 않고, 2월부터 다시 '탄핵심판'과 '특검수사' 방향에 초점을 맞춰 강도 높게 진행할 계획이다.
퇴진행동은 28일 대규모 촛불집회 대신 서울 종로구 광화문 캠핑촌에 머무는 세월호 유가족, 문화·예술인, 해고·비정규직 노동자들과 함께 합동 차례를 지내기로 했다. 이는 13회에 걸친 촛불집회를 대규모로 꾸리면서 쌓인 피로를 명절을 맞아 풀고 조직을 재정비한다는 의미도 있다.
이들은 한 주 공백을 둔 뒤 2월4일부터 다시 주말 촛불집회를 대규모로 재개, 대통령 탄핵과 국정농단 연루자들에 대한 처벌 요구를 이어갈 방침이다.
시민·사회단체들에 따르면 최근 퇴진행동 내부에서는 오는 2월을 '1차적 결과를 내는 달'로 인식하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이른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촉발했던 촛불집회가 탄핵이라는 결과물로 완성될지 여부가 판가름 나는 시기라는 것이다.
당초 퇴진행동은 오는 4월까지 대규모 촛불집회를 이어갈 예정이었다. 하지만 박영수(65·사법연수원 10기) 특별검사팀의 국정농단 수사와 헌재의 탄핵심판 시계가 빨라지면서 정국의 분수령이 될 2월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좋겠다는 견해가 다수를 이루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
퇴진행동은 기존의 박 대통령 퇴진 주장과 함께 대기업 총수들과 우병우(50)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2월 집회의 주요 의제로 삼을 계획이다.
이재용(49) 삼성전자 부회장 등 대기업 총수의 구속 여부는 단지 수사 과정의 문제가 아닌 한국 사회의 개선 가능성을 볼 수 있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는 게 퇴진행동의 해석이다. 한국이 굳건한 기득권 계층까지 손댈 수 있는 사회인지를 가늠할 징표라는 것이다.
퇴진행동은 정국의 긴장감이 고조될 2월 집회에는 1월 대비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집회의 주된 동력은 탄핵소추안을 이끌어낸 촛불집회의 결실을 함께 맞으려는 시민들의 기대감이 될 것으로 본다.
최순실씨 등 국정농단 사태 연루자들의 돌출 발언 또한 촛불집회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다. 최근 최씨는 특검팀에 소환되면서 "민주주의 특검이 아니다"라고 소리치고, 박 대통령은 정규재TV와의 인터뷰에서 국정농단 사태를 두고 "기획 세력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다수 시민들의 공분을 샀던 바 있다.
남정수 퇴진행동 대변인은 "2월이 중요한 시기라는 것을 모두가 느끼고 있기 때문에 촛불의 의미가 보다 커지게 될 것"이라며 "가만히 있으면 끝날 문제가 아니라는 정서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퇴진행동은 탄핵심판 이후의 행보에 대해서도 고민 중이다. 이들은 지난 25일 오후 2시 연수회 등 회의를 연이어 진행하면서 향후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헌재가 탄핵을 결정해 박 대통령이 물러날 경우 퇴진행동의 역할은 표면적으로 마무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표출된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단순히 대통령 퇴진만으로 해소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탄핵 이후'를 고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촛불집회를 유지하면서 공론장을 마련하는 방안, 대토론회 등을 지속하면서 각계의 견해를 수렴·승화하는 방안 등이 꼽힌다.
남 대변인은 "특정한 정당을 밀어주기 위해서 시민들이 광장으로 나왔던 것은 아니지 않나"라며 "4월에 대선이 이뤄진다고 보면, 그 과정에서 그간 시민들이 요구했던 변화의 목소리가 얼마나 수용되고 실행되는지를 지켜봐야 하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wo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