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中사업, '제2의 금호타이어' 신세되나… 사드보복 '첩첩산중'

기사등록 2017/02/27 11:13:08

3월15일 中 '소비자의 날' 앞두고 '희생양'되나 긴장
금호타이어, 지난 2011년 제물된 이후 점유율 하락
롯데, 초기단계라 투자 많았는데 사업타격 우려 커져

【서울=뉴시스】김종민 기자 = 롯데그룹이 27일 성주 골프장을 소유하고 있는 롯데상사 이사회를 열어 성주 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하는 안건을 통과시키고, 국방부와 이달 중 최종 계약을 맺기로 한 가운데 중국의 압박 수위가 더욱 거세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중국 관영언론 환구시보는 롯데그룹의 사드 부지 제공과 관련해 "롯데가 입장을 바꿀수 없다면 중국을 떠나야 한다"는 사설을 실었다. 성주골프장을 관리하는 롯데상사 이사회의 최종 결정을 앞두고 압박의 수위를 최고조로 높인 모습이다.

 특히 3월15일 중국 '소비자의 날'을 앞두고 중국 언론과 소비자단체로부터의 공세가 거세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 CCTV는 해마다 이날 특정 외국기업을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晩會)'의 제물로 삼아왔다. 이번에 표적은 롯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완후이는 지난 2012년엔 까르푸와 맥도날드, 2013년 폴크스바겐, 애플, 2014년엔 일본 니콘, 호주 분유제조업체 오즈밀코 등이 해당 프로그램에 다뤄지는 등 주로 외국기업들을 표적으로 했다. 2015년엔 폴크스바겐, 닛산, 벤츠의 수리비 과다청구, 랜드로버 차량 결함 등 수입차가 대상이었다. 다만 지난해엔 중국 최대 시장점유율을 자랑하는 중고차 거래 사이트 '처이파이(車易拍)'와 함께 외국산 아동용품 등을 다뤘다.

 방송을 통해 고발되면 해당 기업은 신뢰추락과 소비자 외면에 이어 매출 급감 등으로 중국 사업에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실제론 절차적으로나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부분이라 하더라도 '마녀사냥'식 방송에 중국 소비자들의 항의가 빗발치게 되고,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는 급전직하의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일례로 지난 1994년 중국 시장에 진출해 계속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던 금호타이어는 2011년 CCTV의 '3.15 완후이(晩會)' 방영 이후 중국에서의 입지가 크게 흔들렸다. 당시 금호타이어가 지적받은 내용들은 타이어 품질과 전혀 무관한 부분이었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선 억울했지만, 중국법인 사장은 방송이 나간지 며칠 뒤 CCTV에 출연, 중국 소비자들에게 허리굽혀 사과하고 타이어 30만개를 리콜한 적도 있다. 이후 금호타이어의 중국 시장에서 입지는 중국 신생기업들에 밀려 크게 줄어들었고, 결국 중국 칭다오 지방정부가 측면 지원하는 중국 타이어업체 더블스타가 인수를 위해 눈독 들이고 있는 상황까지 처했다.

associate_pic2
 사드문제와 관련된 중국 당국의 보복 조치가 노골화되면서 '선양 롯데타운 프로젝트' 일부 중단 등 롯데그룹의 중국사업 전반에 걸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롯데그룹의 주력 유통계열사 롯데쇼핑은 '선양 롯데타운 프로젝트'에 대해 그동안 부진한 실적을 보였던 중국사업을 개선시킬 터닝포인트가 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뜻밖의 복병을 만나게 된 것이다.

 특히 롯데쇼핑은 지난 2008년 롯데마트를 시작으로 중국시장에 야심차게 진출했지만 초반 현지화 전략에 사실상 실패, 당초 기대와 달리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든데 이어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사면초가에 몰린 형국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지난해 롯데쇼핑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사업을 진행 중인 종속 법인은 총 27개사로 지난 2015년 말 기준 전체 자산 총액은 2조35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반기 기준으로 남아있는 종속기업의 자본금 총액은 1조3233억원으로 그간 청산한 법인까지 고려할때 그동안 중국에서의 누적 손실액은 1조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롯데 측은 "중국사업이 아직 초기 진행단계이기 때문에 투자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현재 현지화 및 점포 재배치 등 사업개선작업이 한창이며 중국은 포기할수 없는 시장으로 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봐야한다"고 말했다.

 또 한편으론 사드배치 문제로 인한 보복 우려나 불안감이 과도해 투자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보이지 않는 제약이나 규제는 이미 수년 전부터 있어왔다"면서 "중국 당국의 정책과 소비자 시장 간에는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영업 전략이나 품질 경쟁력에 따라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롯데 中사업, '제2의 금호타이어' 신세되나… 사드보복 '첩첩산중'

기사등록 2017/02/27 11:13:08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