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AP/뉴시스]사진은 2023년 3월31일 도쿄 긴자 시내 모습. 2025.03.26.](https://img1.newsis.com/2024/05/16/NISI20240516_0001100591_web.jpg?rnd=20240516115623)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 정부가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출판사에게 강제성이 담긴 '연행' 표현 수정을 권고하는 등 압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우익 성향인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교과서 검정조사심의회 총회에서 내년인 2026년도 고교 사회과 교과서를 확정했다.
특히 일본 정부가 이들 교과서 가운데 정부 입장과 다른 기술이라며 '수정'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일본 정부가 문제로 삼은 것은 '교육도서'의 정치·경제 교과서였다. 교과서는 일제의 강제 징용 노동자 문제와 관련해 "제 2차 세계대전 중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연행된 조선인"이라고 기술했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연행' 기술이 정부의 입장과 다르다고 검정 의견을 제시했다. 결국 '동원'으로 수정됐다.
일본 정부는 2021년 각의(국무회의) 결정한 답변서에서 당시 노동자 유입 경위는 다양했다면서 "강제연행됐다" "강제적으로 연행됐다" "연행됐다"며 일괄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정리한 바 있다.
또한 해당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과 관련해서는 "협정에 근거해 해결이 완료된 정치문제에 대해 미해결인 점이 있는 것처럼 기술하고 있었기 때문에 검정 의견이 첨부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법원이 일제 기업들에게 강제징용 노동자에 대한 배상 판결을 내린 데 대해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해결됐다며, 이에 위배된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독도를 일본 '고유 영토'로 기술하지 않은 교과서에 대해서도 검정 의견을 내 압박했다. 독도를 일본 학생들에게 일본땅으로 가르치도록 지적한 셈이다.
신문에 따르면 2개 교과서가 독도를 일본 고유 영토로 명기하지 않아 지적을 받았다. 중국과 일본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尖閣) 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러시아와의 분쟁 지역인 쿠릴 열도(일본명 북방영토)에 대해서도 일본 고유 영토로 명기하지 않은 교과서가 지적을 받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