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무안공항 5㎞ 전 조류와 충돌했을 것"

기사등록 2025/01/04 14:07:57 최종수정 2025/01/04 14:37:55

사고 발생 같은 시간대·장소에서 가창오리떼 확인

무안공항 인근 야생조류 관찰 강화해야 사고 예방

[무안=뉴시스] 전남 무안군 피서리 창포호 철새도래지 안내판(위)과 창포호 상공을 이동하는 야생조류떼. (사진=조기석 한국멸종위기야생동식물보호협회 무안지회장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맹대환 기자 = 탑승객 179명이 사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주원인이 조류 충돌로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야생조류 전문가는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에 도착하기 전 최소 5㎞ 지점에서 조류와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공항 인근의 조류 서식환경을 정밀하게 관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4일 조기석 한국멸종위기야생동식물보호협회 무안지회장에 따르면 제주항공 참사 이후 무안국제공항 인근 야생조류를 관찰한 결과 인근에서 가창오리 등 조류 수십만 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조 지회장은 "사고 당시 여객기가 촬영된 모습을 보면 비행 속도 등을 감안했을 때 최소 공항 도착 5㎞ 지점에서 양쪽 엔진 모두 조류가 빨려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며 "비행경로 지점이자 가창오리떼가 이동하는 무안군 운남면 동암리 주민들도 여객기에서 펑펑하는 폭발음을 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비행경로를 따라 가창오리떼 이동을 확인한 결과 사고가 발생한 오전 9시3분 같은 시간대에 비슷한 사고 지점에서 1000여 마리의 가창오리떼가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조 지회장은 "무안국제공항으로 향하는 경로에는 해남 금호방조제와 고천암호가 있는데 현재 금호방조제에 15만 마리의 가창오리떼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가창오리는 야행성으로 해질 무렵 먹이활동을 시작해 여객기 사고가 난 시각인 오전에 다시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고 밝혔다.

무안국제공항이 위치한 망운면 피서리 창포호에도 낮에는 일반 오리 등 조류 1000~2000마리와 흑두루미 60여 마리가 관찰됐다.

조 지회장은 "전국 대부분의 공항이 철새도래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이번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는 철새 서식환경을 정밀하게 관찰해야 한다"며 "철새 이동시간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태국 방콕을 출발한 제주항공 여객기 2216편은 지난해 12월29일 오전 조종사가 조류 충돌에 따른 메이데이(긴급구난 신호) 교신을 한 후 동체착륙을 시도했으나 9시3분께 무안국제공항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콘크리트 둔덕에 충돌하고 폭발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승무원 6명·승객 175명) 중 179명이 숨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mdhnews@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