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항 곳곳에 '콘크리트 로컬라이저'…"개선해야"(종합)

기사등록 2024/12/31 14:36:03 최종수정 2024/12/31 17:10:23

무안, 광주, 여수, 제주, 청주, 포항경주 등 설치 운영

전문가들 위험성 경고…국토부 "높이·재질 규정 없어"

[무안=뉴시스] 이영환 기자 = 31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사고 현장에 사고 여객기와 충돌로 부서진 로컬라이저가 보이고 있다. 2024.12.31. 20hwan@newsis.com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17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해 사고 장소인 무안공항에 설치된 로컬라이저 안테나 '콘크리트 둔덕'이 피해를 더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내 지방공항 상당수에 '콘트리트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범죄에 가깝다"며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 반면 국토교통부는 "설치는 규정에 맞춰 이뤄졌고, 높이나 재질에 대한 별도 규정은 없다"는 입장이다.

31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가 관리 중인 국내 14개 공항 가운데 강화 콘크리트 방식의 로컬라이저 안테나가 설치된 곳은 최소 6곳에 이른다.

사고가 난 무안국제공항에는 2m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이 설치돼 있고, 국내선 전용 광주공항에는 70㎝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져 있다. 전남 동부권 관문인 여수공항에도 로컬라이저 시설은 콘크리트 둔덕 구조물로 돼 있다.

공교롭게도 광주·전남 3개 공항 모두 콘크리트 방식이다.

제주공항은 둔덕 없이 콘크리트와 H빔 복합 구조물이고, 청주공항은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사천공항은 재질 미상의 50㎝ 높이의 구조물로 지어졌고, 국내 최대 공항인 인천공항은 둔덕 없이 절체구조물로 만들어졌다.

특히 인천공항 로컬라이저의 경우 둔덕 형태가 아닌 땅 속에 매립한 콘크리트 기초대에 설치돼 있으며, 주차장 밀림방지턱 형태로, 안테나는 부서지기 쉬운 재질로 제작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포, 양양, 울산, 군산, 원주공항은 별도의 둔덕은 조성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를 두고 항공전문가들은 "활주로 '오버런' 사고에서 기체가 로컬라이저를 쉽게 뚫고 지나갔더라면 피해가 이처럼 크진 않았을 것"이라며 콘크리트 둔덕을 참사를 키운 요인 중 하나로 지목하고 있다. "범죄에 가깝다"는 지적도 나왔다.

충돌시에 기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애초에 부러지거나 접히도록 설계됐다면 최악의 상황을 피하고, 상당수의 탑승자가 생존했을 수도 있다는 해석이다.

국토부는 "관련 규정에 맞게 설치됐다"면서도 "로컬라이저 설치규정 개선이 필요한지는 전문가들과 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브리핑을 통해 "무안공항 로컬라이저는 항공장애물관리 세부지침상 종단안전구역 밖에 설치돼 있어 '공항 장애물로 간주되는 모든 장비나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한다'는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공항·비행장 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제21조에 따르면 종단안전구역은 착륙대의 종단(끝)으로부터 최소 90m는 확보하되 240m는 권고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무안공항 착륙대 끝에서 로컬라이저 둔덕까지는 250m 가량으로 종단안전구역인 199m에서 벗어나 있다.

그러나 무안 피해 사례가 워낙 큰데다 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권고하는 안전거리가 각각 300m, 305m인 점 등을 감안해 전문가 그룹과 논의해 로컬라이저 설치 규정 개선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여수공항 로컬라이저. (사진=뉴시스DB)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