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인구 청주·진천·증평이 지탱…생활인구로 활로모색
전국 지자체 인구뺏기 경쟁…소멸위기지역 더 늘어날까
[청주=뉴시스] 연종영 기자 = 지역내총생산(GRDP)과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힘을 측정하는 대표적 지표가 인구수다.
2024년 말 기준 충북의 인구 비율은 전국의 3%다. 오랜 기간 이시종 전 충북지사는 '충북 경제 4%' 실현이란 어젠다를 띄웠다. 하지만 1%포인트 끌어올리는 게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확인했을 뿐이다. 충북의 인구수와 GRDP는 현상유지 중이다.
30일 행정안전부 인구통계 포털(11월 말)을 보면 충북 인구수는 159만1100명이다. 전국 인구 5122만6757명의 3.1%다. 외국인주민을 뺀 주민등록인구 기준이다. 내국인·외국인을 모두 포함하는 추계인구와는 다르다.
◆청주·진천·증평이 지탱하는 충북 인구
10년 전인 2015년 11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와 비교하면 충북 인구는 158만3053명에서 159만1100명으로 8047명 늘었다. 전국 인구가 같은 기간 28만8642명(0.56%) 줄어든 걸 고려하면 선방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충북 전체로 보면 긍정적이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그렇지 않다. 11개 시군 가운데 인구수가 증가한 곳은 청주시·진천군·증평군 달랑 세 군데다.
청주시는 2만2266명, 진천군은 1만9389명, 증평군은 482명 늘었다. 3개 시군의 공통점은 수도권과 가깝다는 것이다.
청주시 인구 증가 요인은 오송읍 도시개발 활성화와 세종시의 빨대효과(인구흡입) 약화로 분석할 수 있다. 진천군 인구가 급증한 건 음성군(맹동면)과 양분·공유하는 충북혁신도시(진천군 덕산읍) 파생효과 덕분으로 보인다.
◆인구위기 6개 시군 포함 8개 지자체 감소세
무려 8개 시군 인구수는 줄어들었다. 충주시는 20만8026명에서 20만7324명으로 702명 감소했고, 외국인주민이 인구수를 지탱하는 음성군은 9만6584명에서 9만977명으로 5607명 줄었다.
2030년 자체 시승격을 추진하는 음성군은 민선 7기 이후 13조9000억원(연평균 2조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했는데도 인구 감소세를 극복하긴 힘겨워한다. 그 이유는 혁신도시 도시계획에서 찾을 수 있다.
인구 유입하기 좋은 대단위 아파트단지는 진천군 덕산읍에 몰려 있고, 음성군 행정구역에는 공장과 상업시설이 집중돼 팽창하는 혁신도시를 통해선 인구유입 효과를 누리지 못한다.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이 규정한 인구감소지역 89개 지자체에 속한 6개 시·군(제천·보은·옥천·영동·괴산·단양) 상황은 더 나쁘다.
제천시는 13만6309명에서 12만8275명으로 7584명, 보은군은 3만4217명에서 3만567명으로 3650명, 옥천군은 5만2474명에서 4만8294명으로 4180명, 영동군은 5만844명에서 4만3597명으로 7247명, 괴산군은 3만7870명에서 3만6072명으로 1798명, 단양군은 3만747명에서 2만7425명으로 3322명 감소했다.
제천시는 심리적 방어선 13만명이 무너진 지 오래됐고, 보은군은 3만명 벽이 무너질 위기에 놓였다.
◆'활력지수' 아동인구 비율도 천차만별
인구 감소 현상보다 더 심각한 건 아동의 비중이 극히 적다는 점이다. 그 지역의 미래와 활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게 18세 미만 인구(아동복지법 기준) 비율이기 때문이다.
그 비율의 지역적 격차도 매우 크다. 충북 평균은 13.45%(21만3999명)인데, 진천군은 15.46%(1만3377명)로 가장 높다. 비록 진천군도 초고령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는 있지만, 유·초·중·고생의 밝고 쾌활한 목소리도 동시에 들을 수 있는 도시란 얘기가 된다.
진천군 뒤를 증평군 14.97%(5257명), 청주시 14.90%(12만7350명), 충주시 12.46%(2만5834명), 제천시 11.60%(1만4937명), 음성군 10.91%(9925명), 옥천군 9.46%(4567명), 영동군 8.45%(3686명), 보은군 8.14%(2487명), 단양군 7.84%(2149명), 괴산군 6.65%(2400명)가 잇고 있다. 괴산군 아동인구 비율은 충북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생활인구'로 활로 모색?…인구 빼앗기 경쟁 옳은가
진천군은 자체 예산 2000만원을 들여 '생활인구'를 측정하고 있다.
통학·통근·관광 목적으로 진천군을 방문하는 유동인구의 분포·동선을 분석해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는 게 목적이다. 조사 결과는 새해 초에 나온다.
생활인구는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일정지역에 체류하는 인구를 말한다. 전국이 사실상 1일 생활권이 되면서 정주인구(등록인구)만큼 중요한 지표로 활용한다.
생활인구라는 국가 차원의 개념정의가 나오고, 관계 법령(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도 삽입하는 이유는 지자체간의 인구유치 유혈경쟁이 너무 치열하기 때문이다.
결혼율·출생률 저하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지자체들의 '포퓰리즘' 출혈경쟁.
이건 인구 늘리기 시책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인구를 빼 오는 '치킨게임'일 뿐이라는 게 전문가 집단의 지적이다.
◆2025년 을사년 인구도 을씨년스러울까
이재영 증평군수는 뉴시스와의 군정 관련 인터뷰에서 '증평형 돌봄서비스'를 설명한 후 "매월 초 전월 기준 인구 통계를 초조하게 기다린다"면서 "2025년은 을씨년스럽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을씨년스럽다'는 말은 을사늑약이 있던 1905년, 음습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묘사한 표현 '을사년스럽다'에서 파생했다.
충북 지자체들은 새해에도 각양각색의 인구증가시책을 진행한다.
진천군은 우량기업 유치를 통한 고용 중심의 인구 증가 모델을, 증평군은 아이돌봄 공공서비스를 강화해 출생률을 끌어올리는 모델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제천시는 고려인 유치를, 단양군과 진천군은 생활인구 유치를, 음성군은 숨은 인구 찾아 주민등록을 유도하는 '내고장 음성愛(애) 주소갖기' 캠페인을 각각 벌였다. 적잖은 예산과 공무원조직, 기관단체 인력을 동원하지만 효과는 아직 미미하다.
과연 새해에는 이런 시책이 온기를 불어넣고, 지속가능한 인구 증가란 결실로 이어질지 두고 볼 일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jyy@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