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민주당 심판론 꺼냈지만 또 패배
'논란의 중심' 김준혁도 힘겹게 승리
여야 후보들, 앞다퉈 장밋빛 공약…이행여부 관심사
이로써 민주당은 제19대 총선부터 내리 3차례 연거푸 수원에서 총선 승리를 거머쥐게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1일 오전 1시 20분 기준 수원지역 5개 선거구별로 약 30~90%대까지 개표가 진행된 상황에서 민주당 후보 5명 모두가 득표율에서 국민의힘 후보들을 약 1~20%p대로 앞서면서 당선이 유력 또는 확실시가 예측되고 있다.
수성고 선·후배 간 맞대결로 관심을 모았던 '수원갑'에서는 민주당 김승원 후보가 득표율 54.54%를 보여 국민의힘 김현준 후보를 11.29%p 차이로 따돌린 상태다.
'수원을'에서는 민주당 백혜련 후보가 득표율 60.98%로, 국민의힘 홍윤오 후보와 21.97%p 격차를 보였다.
'이재명 대 한동훈' 대리전으로 접전이 예상됐던 '수원병'에서는 민주당 김영진 후보가 득표율 55.41%를, 산자부장관 출신 국민의힘 방문규 후보는 44.58%를 각각 나타냈다.
같은 교수 출신끼리 치열한 경쟁을 치렀던 '수원정'에서는 민주당 김준혁 후보가 득표율 50.86%로 49.13%를 얻고 있는 국민의힘 이수정 후보보다 1.73%p 차이로 당선됐다.
전직 수원시장과 경기도의원 간 대결로 주목을 끌었던 '수원무'에서는 민주당 염태영 후보가 60.06%를, 국민의힘 박재순 후보가 39.93%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선거 초반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팽팽한 승부가 예상됐으나 개표가 절반 이상 진행되면서 당선여부가 윤곽을 드러나자 막상 수원지역 5개 선거구는 전부 민주당 후보들이 승기를 잡아가는 분위기였다.
국민의힘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우수한 외부인사들을 대거 영입했다. 이 중에는 방문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범죄심리학자로 유명한 이수정 경기대 교수도 포함됐다.
또 김현준 전 국세청장과 언론인 출신인 홍윤오 전 국회사무처 홍보기획관도 발탁하며 이들을 기존 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지역구에 배치했다.
해당 후보들은 민주당 현역 의원들이 기반을 닦아놓은 지역구에서 자신들의 화려한 스펙을 바탕으로 '검증된 일꾼'을 강조하며 도전장을 내밀었다.
국민의힘이 이같이 걸출한 경력을 지닌 후보들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과거 보수 색채가 짙었던 수원의 정치 지형도가 민주당 성향의 기류로 확연히 달라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역대 총선에서 수원은 보수정당이 총선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여왔다. 하지만 제17대를 거쳐 19대까지 민주당 전신으로 불리는 정당들이 서서히 국회 진입 장벽을 허물기 시작했고, 제20대 총선부터 민주당이 석권하기 시작했다. 지방선거에서도 2010년부터 3차례 연속으로 패배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민의힘은 이른바 '경기도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수원을 다시 빼앗아오기 위해 '배수의 진'을 친 것으로 보인다.
여야 후보들은 이번 총선 기간 동안 지역 발전을 위한 장밋빛 공약들을 쏟아냈다. 주요 공약으로 반도체 벨트 구축과 경부선 지하화, 대형 교통공약 등을 발표하며, 침체된 수원을 되살릴 것을 유권자들에게 약속했다.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해당 공약들이 모두 지켜진다면 살기 좋은 도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충분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 때문에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에서 승리를 거둔 민주당 후보들이 앞으로 4년간 의정활동을 통해 어떤 성과물을 만들어낼지를 눈여겨봐야 한다.
국민의힘은 '절치부심'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총선에서 민주당이 독식하고 있는 수원을 다시 탈환하려면 경쟁력을 갖춘 후보 발굴과 함께 다음 총선 때까지 꾸준히 지역 현안에 관심을 갖는 것은 물론, 민주당 현역 의원들과 차별화된 지역 일꾼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민주당에게는 과제가 생겼다. 다음 선거 때까지 얼마나 공약을 이행하는지 여부다. 현 정부와 여당의 협조 없이 민주당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을 이행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선거에서 민심은 또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게 선거이기 때문이다.
한 지역 정치권 인사는 "정부와 여당에서는 이번 선거 결과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향후 국정 운영을 어떻게 헤쳐나갈지와 총선에서 패배한 지역에 어떤 보완점을 마련해야 하는지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며 "민주당 역시 정부, 여당과 함께 국정 운영의 동반자로서 정쟁이 아닌 상호 협력을 통해 국민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d@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