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폭력과 국가의 책임'을 주제로 역사 속 국가 폭력에 대해 알아보고, 국가 폭력 재발 방지를 위한 과제 등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성공회대학교 한홍구 교수의 '국가폭력에 대한 국가의 책임'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1세션 '국가폭력의 양상', 2세션 '국가폭력 치유의 과정'으로 이어진다. 연구자들이 주제 발표를 한다.
1세션의 첫 번째 주제 발표 '박정희 시기의 국가폭력'에서는 1970년대와 부마민주항쟁시기의 국가폭력을 다루면서 그것이 왜 부당하고 위헌적이었는가를 살펴본다. 두 번째 주제 발표에서는 '전두환 정권기 도시하층민에 대한 국가폭력'의 양상을 삼청교육대와 형제복지원을 중심으로 두 사건의 연원과 피해자의 특성 및 인권침해 상황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다.
2세션 '국가폭력 치유의 과정'에서는 세 개의 주제 발표를 통해 국가폭력 재발 방지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알아본다. '국가폭력과 법적·제도적 책임'에서는 국가폭력과 관련된 과거사 사건이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의 문제를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어 '국가폭력 피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과 트라우마 치유 방안 모색'에서는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일반 트라우마에서의 경험의 차이가 무엇인지 밝히고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에 도움이 되는 요인도 고찰한다. '한국의 이행기 정의'에서는 진상규명을 중심으로 한국의 이행기 정의 활동을 개괄하고, 그 성과 및 도전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핀다.
최갑순 이사장은 "국가폭력에 의한 사건들은 진상규명, 과거사청산 등의 명칭으로 조사가 시작됐지만 아직도 철저한 진상규명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국가폭력으로 트라우마를 겪는 사람들은 여전히 고통을 받고 있다"면서 "부마민주항쟁 44주년을 기리며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가 국가폭력 희생자들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재촉하는 작지만 소중한 한 걸음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yulnetphoto@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