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성공] 누리호 앞으로 3번 더 쏜다…달 탐사도 자력으로 간다

기사등록 2023/05/26 06:00:00 최종수정 2023/05/26 06:17:04

누리호, 25일 18시24분 발사돼 임무 완벽 성공…위성 8기 모두 분리

'누리호 고도화 사업' 순조로운 첫 발…2027년 6차 발사까지 계획

누리호보다 진화한 '차세대 발사체'도 개발…달·화성 자력으로 간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항우연 제공) 2023.05.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고흥 나로우주센터=뉴시스]윤현성 기자 = 우리나라가 자체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실용 위성을 우주로 쏘아올리는 것까지 성공했다. 지난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으로 7대 우주강국에 등극한 이후 또 한번의 쾌거를 거뒀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지난해부터 시작된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이 순조로운 첫발을 떼면서 오는 2027년까지 진행될 3차례의 누리호 발사에도 탄력이 붙을 예정이다.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당초 계획보다 하루 미뤄진 25일 오후 6시24분에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 궤도인 550㎞ 고도에 도달함은 물론, 8기의 탑재위성을 계획대로 순차 분리하는 것까지 모두 성공했다. 누리호는 18분여 간의 비행 끝에 모든 임무를 마치고 우리나라를 명실상부 상업용 우주수송능력 보유국으로 격상시켰다.

이날 성공한 누리호 3차 발사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6년 간 총 687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는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의 1호 임무였다.

사업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3차 발사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누리호를 3차례 더 발사할 계획이다. 누리호의 신뢰성 제고, 성능 고도화를 꾀하고 위성 등의 우주수송능력까지 더 키워나간다는 목표다.

각 임무별로 살펴보면 ▲2023년 3차 발사 차세대 소형위성 2호 ▲2024년 4차 발사 초소형위성 1호 ▲2026년 5차 발사 초소형위성 2~6호 ▲2027년 6차 발사 초소형 위성 7~11호 등이 발사될 것으로 예정돼있다.
이같은 누리호 고도화 사업뿐만 아니라 누리호보다 더 진화된 차세대 발사체(KSLV-Ⅲ) 개발사업도 올해부터 2032년까지 10년에 걸쳐 추진된다. 총 사업비만 2조132억원 수준으로 기존의 누리호 고도화 사업의 3배를 웃돈다.

차세대 발사체 사업은 누리호보다 성능이 대폭 고도화된 차세대발사체를 개발하고 핵심기술 확보함으로써 국가 우주수송 역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목표다. 우주 수송 역량을 강화해 우주개발 선진국 지위를 공고히 한다는 것이다.

차세대 발사체는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을 적용한 2단형 발사체로 개발될 예정이다. 1단부에는 추력 100톤 이상 엔진 5기, 2단부에는 10톤 이상 엔진 2기가 탑재된다. 이에 더해 재사용발사체 기반 기술인 재점화, 추력조절 등까지 탑재된 다단연소사이클 엔진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차세대 발사체는 훨씬 더 강한 추력을 보유하는 만큼 초소형, 소형 위성 위주였던 누리호와 달리 대형위성 발사나 달·화성 등 심우주 탐사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차세대 발사체의 목표 임무는 ▲2030년 1차 발사 달 궤도 투입 성능검증위성 ▲2031년 2차 발사 달착륙선(프로토 모델) ▲2032년 3차 발사 달 착륙선 최종모델 등이다.
[여수=뉴시스] 김선웅 기자 = 25일 전남 여수시 낭도에서 바라본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발사돼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지난 24일 통신문제로 예정된 발사가 하루 연기된 누리호의 3차 발사에서는 1,2차 시험 발사 때와는 달리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민간 위성 등을 포함해 실제 우주 임무를 수행하는 8기의 실용 위성이 누리호에 탑재됐다. 2023.05.25. mangusta@newsis.com
누리호와 차세대 발사체의 성능을 비교해보면 누리호의 경우 고도 200㎞의 지구저궤도(LEO), 고도 500㎞의 태양동기궤도(SSO), 고도 700㎞의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탑재체 중량이 각각 3.3톤, 2.2톤, 1.9톤 수준이다. 반면 차세대 발사체는 같은 고도에 10톤, 7톤, 6.1톤을 쏘아올릴 수 있다.

심우주 탐사를 위해 필수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달전이궤도(LTO)에 대한 누리호의 투입성능은 0.1톤에 그치고, 화성전이궤도(MTO)이 경우에는 아예 0톤이다. 차세대 발사체는 이같은 지구에서 완전히 벗어난 궤도에도 1.8톤, 1톤의 탑재체들을 실어나를 수 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이같은 강한 추력을 감당하기 위해 이번에도 누리호 발사에 활용된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 대신 제1발사대를 개축해 저궤도 위성 및 우주탐사에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발사체 발사대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차세대 발사체는 성능적으로 누리호의 3배 이상을 높이게 된다. 이 부분은 항우연이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대해 자신감을 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또한 "누리호 개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누리호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추진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며 "과기정통부는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다양한 시도와 비즈니스 모델을 펼쳐나갈 수 있는 뉴스페이스 시대의 기반을 마련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