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계란가격 1년 전보다 57% 급등
올해 1월부터 두자릿수 상승폭 이어져
소매가 7158원…평년보다 35.6% 비싸
AI에 따른 살처분·코로나 재확산 영향
정부, 수입계란 물량 늘려 공급 예정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째 2%대로 치솟는 가운데 연초부터 폭등한 계란값이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정부가 '특단의 대응'까지 언급하며 가격 안정화에 나서고 있지만 계란값은 7000원대에 머물며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6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계란 가격은 1년 전보다 57.0% 급등했다. 2019년 10월부터 오름세를 보이던 계란값은 올해부터 가격 상승 폭이 커지는 조짐을 보였다. 지난 1월에는 전년보다 15.2% 오르더니 2월 41.7%, 3월 39.6%, 4월 36.9%, 5월 45.4%, 6월 54.9% 등 두 자릿수 가격 상승 폭을 지속하고 있다.
실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수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5일 기준 계란(특란 중품·30개) 소매가격은 7158원으로 나타났다. 평년 5277원보다 35.6%(1881원) 오른 금액이다. 계란 최고가격은 8000원을 웃도는 8750원에 팔렸다. 한때 일부 소매점을 중심으로 계란 한 판당 1만원에 판매되는가 하면 이마저도 없어서 품귀현상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계란값이 '金란'이 된 배경에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에 따른 살처분 정책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겨울 AI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겠다며 발생 농장 반경 3㎞ 내 조류에 대해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한 바 있다. 정부의 강도 높은 방역 대책으로 AI 확산은 막았으나, 대규모 산란계 처분으로 달걀 수급에 차질이 생긴 셈이다.
통계청의 '2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6월1일 기준) 국내에서 사육하는 산란계는 6587만1000마리로 1년 전보다 905만 마리(-12.1%) 감소했다. 여기에 폭염까지 이어지면서 산란계 폐사가 진행되는 상황이다.
최근 산란계 숫자는 평년 수준까지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코로나19 4차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가정 내 계란 수요가 급증하면서 품귀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계란을 수입해 시장에 공급하고 있지만,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간다는 지적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6월 말 기준(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 6823만 마리로 집계됐다. 전년(7328만 마리)보다는 6.9% 적은 수준이지만 평년(6916만 마리)과 비교하면 1.3%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재택근무와 가정 내 생활이 많아지고 제과·제빵 등 가공 수요가 늘면서 계란 품귀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년에는 일평균 4300만개가 팔렸으나 최근에는 이보다 300만개 많은 4500만~4600만개씩 팔리며 수요가 높게 유지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달 이후 매월 1억 개의 계란을 수입해 대형마트, 중소마트, 전통시장 등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수 있는 판매처를 중심으로 하루 약 300만개를 시중에 공급하고 있다.
동시에 계란 가격 담합 여부도 주시 중이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계란 생산·유통 관련 사업자 단체에 '가격 담합 시 처벌받을 수 있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 경고에 나섰다. 사업자 단체가 합의를 통해 계란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가격을 유지하면 담합에 해당한다는 취지다.
정부는 수입 물량을 대폭 늘려서라도 계란 가격 안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특단의 각오로 대응하라"고 주문한 것에 따른 후속 조치다.
기획재정부는 "수입 계란 물량을 이달 1억 개, 9월 1억 개 등 대폭 늘릴 것"이라며 "급식·가공업체에 주로 공급된 수입 계란이 소비자에게 더 많이 공급되도록 대형마트 등에 수입 물량의 절반 이상 공급을 목표로 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