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장남은 10살…北 유사시엔 김여정이 후계자 유력

기사등록 2020/04/22 11:57:26

김정은 스위스 유학 시절 함께한 '백두혈통' 친동생

남북·북미정상회담서 오빠 지근거리 보좌로 존재감

올해 들어 靑 비난 담화 발표…美 트럼프 친서 확인

공식 위상도 강화…'당 핵심' 조직지도부 이동 유력

김정은 아들 어려 후계구도 오르긴 어렵다는 관측

金 건강 예단 못해…권력 승계 논의 이르다 지적도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중앙극장에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8.02.11.  amin2@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지현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대한 관측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유사시 여동생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최고지도자 대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2일 북한이 지난해 말부터 김 제1부부장에게 긴급 최고지도자 권한을 대행하도록 하는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영국 가디언지도 20일(현지시간) 김 제1부부장에 대해 "북한 정권의 심장부에 있는 인물"이라며 북한 체제를 이어갈 유일한 후계자로 평가했다.

김 제1부부장은 북한이 3대 세습으로 지켜온 '백두혈통'인데다, 스위스 유학 시절부터 김 위원장과 두터운 관계를 형성한 인물이라 주목받고 있다.

김 제1부부장은 2018년 시작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특별 신임을 받는 인물로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랑선(베트남)=뉴시스】고승민 기자 =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하루 앞둔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특별열차를 타고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 내리기에 앞서 김여정 제1부부장이 동선을 체크하고 있다. 2019.02.26.kkssmm99@newsis.com
김 제1부부장은 그 해 2월 평창 동계올림픽 때 대남 특사로 파견돼 문재인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 친서를 전하면서 공식무대에 데뷔했다.

남북·북미 정상회담 과정에서도 김 위원장의 동선을 직접 일일이 확인하는 등 지근거리 수행으로 오빠와의 각별한 관계가 부각됐다.

올해 들어 김 제1부부장의 위상 강화는 더욱 두드러졌다. 김 제1부부장이 지난달 3일 본인 명의로 청와대 비난 담화를 낸 것이 발단이었다.

김 제1부부장은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에 유감을 표명한 청와대를 향해 "겁 먹은 개가 요란하게 짖는다"는 등 강도 높은 표현을 동원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사실상 김 위원장의 목소리를 대신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서울=뉴시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백마를 타고 백두산에 올랐다고 조선중앙TV가 16일 보도했다. 뒤쪽으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보이고 있다. 2019.10.16. (사진=조선중앙TV 캡쳐) photo@newsis.com
이어 지난달 22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냈다고 발표하며 최측근으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북한 권력체계 내 공식 서열도 높아지고 있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해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조직지도부장으로 이동한 것이 유력시된다. 조직지도부는 북한 고위간부들의 인사권을 갖는 핵심 부서다.

김 제1부부장이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상실했던 정치국 후보위원직도 지난 11일 김 위원장이 주재한 노동당 정치국 회의 결과 복원됐다.

북한이 이처럼 '가족 정치'를 강화하는 가운데 만에 하나 북한에 긴급사태가 닥치면 김 제1부부장이 최고지도자의 대리인으로 나서 국정의 키를 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파주=뉴시스】김진아 기자 =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12일 오후 경기도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고 이희호 여사 조화를 전달 받기 위해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9.06.12. (사진=통일부 제공)  photo@newsis.com
김 위원장과 리설주 여사는 슬하에 2남 1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장남이 10살로 추정돼 아직은 후계 구도에 오르기 어려워 보인다.

다만 김 위원장이 위중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데다, 북한이 김 위원장 후계자를 지정한 적 없다는 점에서 권력 승계를 논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감언론 뉴시스 fine@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