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영화의 장르는 멜로가 아닌 범죄극. 연출 김용훈 감독은 두 배우에 윤여정, 배성우, 정만식, 진경, 신현빈, 정가람 등을 더해 캐스팅을 완성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인생 마지막 기회인 돈 가방을 차지하기 위해 최악의 한탕을 계획하는 평범한 인간들의 범죄극을 그린 영화다.
정우성은 "이 영화는 인간이 물질 앞에서 얼마나 궁핍할 수 있나를 적절하게 보여주는 영화다. 그래서 흥미로웠다"라고 영화를 소개했다.
정우성은 사라진 애인 때문에 사채빚에 시달리며 한탕의 늪에 빠진 '태영'을 맡았다. 정우성은 자신의 캐릭터에 대해 "'태영'은 허당이다. 때 묻는 강아지인데, 제가 밀림의 사자인 냥 모든 걸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나쁜 짓을 할 수 없는 인간인데 어쩌다보니 나쁜 짓에 발을 담근다. 완벽한 계획으로 나를 버린 연인 '연희'에게 완벽한 복수를 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 있다"라고 말했다.
전도연은 과거를 지우고 새 인생을 살기 위해 남의 것을 탐하는 '연희'를 분한다. 전도연은 "연희는 캐릭터가 센 느낌이 있다. 그래서 최대한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하려고 노력했다"라며 "정우성이 맡은 태영이 아는 연희와 태영이 모르는 연희가 되게 다르다. 태영에겐 사랑스럽게 하려고 했는데 창피했던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윤여정은 극 중 배성우의 엄마인 '순자'를 연기했다. 순자는 과거의 기억에 갇혀 버린 여자다. 배우진은 카리스마 '짐승'으로 윤여정을 꼽았다. 이에 윤여정은 "공경 차원에서 뽑아준 것 같다. 우리 영화는 가족 드라마가 아니라 다 따로 촬영했다. 자기가 같이 한 상대의 연기만 알 것"이라고 겸손함을 보였다.
그러자 김 감독은 "윤여정 선생님이 처음 등장할 때, 그 순간만으로도 아우라가 느껴지더라. 대본 리딩 시작할 때도 선배님의 목소리가 들리는 순간 카리스마가 느껴졌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전도연은 "윤 선생님은 배우로서도 그렇고 사람으로서도 그렇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인 것 같다. 제가 선생님에게 호출할 때면 언제든 제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신다. 그리고 공감해준다. 든든한 지원군 같다"라고 화답했다.
영화는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김 감독은 소설과의 차별점에 대해 "소설이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근데 소설에서만 허용되는 구조다. 이걸 어떻게 영화적으로 바꾸는지가 관건이었다. 뼈대를 다시 세우는 작업이 필요했다"라며 "인물들도 소설보다 좀 더 평범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원작에서는 정우성 선배님의 직업이 형사였는데, 좀 더 평범하게 바꾸고자 세관 공무원으로 변경했다. 가장 크게는 소설과 영화의 엔딩이 다르다"라고 답했다.
김 감독은 영화의 완성도를 위해 공간과 의상까지 디테일을 놓치지 않고자 노력했다.
"공간을 캐릭터화시키길 바랐다. 공간을 통해서 인물들이 어떻게 살아왔고, 이들이 겪는 심리적 상태랑 변화들이 공간을 통해서 보여지길 바랐다."
다만 김 감독은 정우성 때문에 의상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고백했다. 김 감독은 "낡은 느낌을 담아서 의상을 준비했는데, 정우성 씨가 입으니 낡은 느낌이 안 났다. 의상 실장들이 힘들었다고 하더라"라고 토로했다.
이에 정우성은 "모든 의상 실장님들의 딜레마다"라고 말해 좌중을 웃겼다.
이번 작품은 배우 정우성이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 부문 대상을 탄 후 처음으로 공개하는 작품이다. 이에 대해 정우성은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수상 전에 촬영을 끝내 놓은 상태였다"라며 "상의 무게와 평가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는 내 앞에 있는 동료에게 내가 떳떳한 연기와 깊이 있는 고민을 보이느냐가 더 우선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지푸라기에서도 그런 모습을 상대 배우에게 보이려고 노력했다"라고 진지하게 답했다.
마지막으로 김 감독은 자신의 영화를 400m 계주에 비유했다.
"운동으로 치면 이어달리기 같은 영화다. 한 사람이 끌고 가는 이야기가 아니라 각 인물들이 바통 터치하듯이 이야기가 전개된다. 400m 계주 경기를 보는 재미로 관람하면 좀 더 흥미롭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달 12일 개봉.
◎공감언론 뉴시스 nam_jh@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