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보고서 '제조업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 발표
초저금리로 설비투자 호조...생산 부진 업종의 구조조정 지연
민성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일 보고서 '제조업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을 통해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교역 부진 등으로 국내 제조업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저금리 기조 등으로 설비투자 증가세는 높아지면서 제조업 가동률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2010년경부터 하락세를 보이면서 2018년 1분기에는 71.0%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민 연구위원은 제조업 평균 가동률의 원인으로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성장 둔화와 설비투자 호조를 꼽았다.
2010년대 제조업 성장률이 연평균 3.5%에 그친 반면, 설비투자는 다소 부침이 있음에도 연평균 4.0%의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과 생산지수·생산능력지수의 기간별 연평균 증가율 추이를 보면, 2010년 이후 생산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생산능력 증가세는 투자 호조 등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둔화 폭이 완만하다.
민 연구위원은 "생산능력의 높은 증가세는 저금리로 설비투자가 늘고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은 지연된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1년 7.1%에서 2015년에는 9.3%까지 상승했다.
산업별로 보면, 반도체나 화학 등 생산이 빠르게 증가한 업종들은 생산능력도 크게 확대되면서 가동률 상승이 미미했다.
그러나 섬유·조선 등 생산 부진 업종들은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생산능력 감소가 더디게 이뤄지면서 가동률이 크게 하락했다.
2001~2007년 가동률이 큰 폭으로 상승한 당시에는, 생산 호조 업종들에서 생산이 생산능력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체 가동률의 상승을 가져왔다.
가동률 지표와 실제 가동률의 괴리 등 제조업 가동률 통계상 한계도 가동률 장기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가동률 산정에 필요한 생산능력의 대표품목과 대상사업체 범위, 생산 개념 등이 생산지수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세계경제 회복 등으로 향후에는 제조업 가동률이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민 연구위원은 "최근 세계경제가 회복세이며 조선산업에서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수요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금리 상승에 따른 주력업종들의 설비투자 둔화 가능성 등은 향후 제조업 가동률 하락세의 진정 내지 반전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sypark@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