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달라지는것]3억 이상 고소득자 9만여명 稅부담↑

기사등록 2017/12/27 10:00:00
저소득층 월세·ISA 稅혜택은 확대

【세종=뉴시스】변해정 기자 = 내년부터 과세표준 3억원이 넘는 초(超)고소득자의 세금 부담이 늘어난다. 자발적으로 소득을 신고했다는 이유로 세금을 깎아주던 상속·증여세 신고세액공제는 축소된다.

반면 저소득층의 월세 세액공제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세제혜택은 확대된다.

내년 7월부터는 책 사고 공연을 관람하면 연 100만원까지 소득공제 해준다.

기획재정부가 27일 내놓은 부처 소관 '2018년 달라지는 주요 금융·재정·조세 제도'를 살펴봤다.

◇소득세 최고세율 조정 = 한 해 5억원 이상 버는 고소득자의 소득세율이 현행 40%에서 42%로 오른다. 종합소득과세표준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의 차상위 구간도 신설해 기존에 적용받던 세율 38%를 40%로 올라간다. 세율 조정으로 영향받는 소득자는 2015년 소득 기준 약 9만3000명이며, 이로 인한 세수 효과는 약 1조1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상속·증여세 신고세액공제율 축소 = 신고기한 내 스스로 소득을 신고만 해도 세액의 7%를 깎아주는 상속·증여세 신고세액공제율이 내년 5%로, 2019년 이후에는 3%로 단계적 축소한다. 그동안 상속이나 증여를 받은 뒤 신고 기간인 6개월과 3개월 안에 신고만 해도 세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고소득자에 대한 특혜라는 지적이 많았다. 상습 체납자의 명단 공개 범위는 현행 3억원에서 2억원으로 하향된다.

◇ISA 세제혜택 늘리고 중도인출 허용 = 총급여 5000만원 이하 근로자나 종합소득금액 3500만원 이하 사업자에 대한 ISA 비과세 한도가 현행 25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늘어난다. 농어민(200만→400만원)의 경우 2배로 확대된다. 납입한 원금 범위 안에서 중도인출도 허용된다. 

◇월세 세액공제 최대 12% = 총급여액 5500만원 이하의 무주택 근로자가 월세로 지출한 금액의 12%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매달 월세 50만원(연 600만원)을 냈다면 지금은 60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지만 앞으로는 12만원이 더 많은 72만원을 돌려받는다. 다만 총급여 5500만원 초과~7000만원 이하 근로자의 경우 월세 세액공제율이 현행 10%과 같다.

◇다주택자, 내년 4월부터 양도소득세 중과 = 다주택자가 양도소득세 중과를 피하려면 내년 3월31일까지 비거주용 주택을 팔아서 잔금까지 받아야 한다. 두 채의 집 보유자가 내년 4월 이후 현재 서울 전지역과 경기 7개지역, 부산 7개구, 세종시 내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기본세율(6~42%)에 10%포인트, 세 채 이상 보유자는 20%포인트 가산된다. 중과 대상 주택 양도때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도 배제된다.

◇전통시장·문화생활 소득공제 확대 =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한 신용카드 사용액 가운데 전통시장과 대중교통에 사용한 금액에 대한 소득공제율이 현행 30%에서 40%로 인상된다. 내년 7월부터는 총급여 7000만원 이하 근로자가 지출한 도서·공연비에 대해서도 100만원 한도로 30% 공제 해준다.

◇중증질환 의료비 무제한 세액공제 = 중증질환, 희귀난치성질환, 결핵으로 진단받은 경우 본인부담 산정특례대상자로 등록하면 의료비 전액을 세액공제 해준다. 현재는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한 의료비의 15%를 700만원 한도로만 지원해왔다.

◇전기車 더 싼값에 구입 가능해져 = 전기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일몰 기한이 올해 말에서 2020년 말로 연장하고, 감면 한도를 현행 2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늘린다. 정부가 전기차 보급을 늘리기 위한 조처로, 내년 1월1일 이후 제조장에서 반출하거나 수입신고하는 분부터 적용된다.

 hjpyu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