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현장①]도시민박촌 '이바구 캠프'…"마을이 꿈꾸는 내일"

기사등록 2017/07/18 05:50:00
【부산=뉴시스】김민기 기자 = 부산 동구 초량동은 2001년 이후 아기 울음소리가 사라졌던 마을이다. 외지인뿐 아니라 동네 마을 주민들조차도 교류가 거의 없었다. 

  그런 초량동에 청년들과 고령의 주민들이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숙박 손님들의 웃음소리와 생기로 넘쳐나게 된 것은 주민들과 청년이 힘을 합쳐 도시재생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특히 부산 동구의 도시민박촌 '이바구캠프'는 청년들과 주민들이 함께 생활하고, 공동으로 민박촌을 운영·유지관리하면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사업으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지난 7일 국회 도시재생전략포럼은 부산 도시재생 현장인 동구의 도시민박촌 '이바구캠프'를 찾았다. 이 곳은 부산 동구가 25억원을 투자해 만든 민박촌이다.  이날 포럼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김현아 국회의원도 직접 현장을 방문해 주민 모두가 주인이 되는 이바구캠프의 모습을 감상했다.

 도시민박촌은 공폐가로 남겨진 기존 주택을 매입한 후 리모델링을 통해 민박촌을 조성하고, 향후 운영 수익을 재투자해 민박을 희망하는 개인주택을 대상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바구캠프는 지상 2층짜리 게스트하우스(11실)와 주민 사랑방인 멀티센터, 체크인센터, 서울의 영화제작사 '스토리 큐' 사무실인 아트팩토리 건물로 나뉜다. 운영은 마을기업 '다온산마을' 소속의 '공유를 위한 창조팀'이 맡았다.

박삼석 부산 동구청장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들의 현장 목소리와 다양한 전문가 의견, 청년들의 열정과 참신한 아이디어가 합쳐졌다"면서 "초량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북항재개발 사업 등과 연계해 동구의 발전을 이끄는 하나의 브랜드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바구캠프는 2017 대한민국 국토경관디자인대전에서 역사 및 문화건축 부문 국토교통부장관상도 수상했다. 산복도로만의 산비탈 아래 파랑 지붕과 파랑 물통, 노란색 가로등이 아름답게 어울리면서 젊은 방문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박은진 다온산마을 대표는 "방 하나에 2만5000원에서 10만원까지 다양하다"면서 "최대 60명까지 수용이 가능하고 부산에서 가장 핫한 곳으로 떠오르면서 최근 월매출 1000만원 찍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이바구 캠프가 도시재생 롤모델로 주목받는 것은 다른 곳과 달리 청년들이 이곳을 떠나지 않고 주민들과 함께 민박촌을 운영하고 생활을 한다는 점이다. 현재 박은진 대표를 포함해 총 3명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도시재생뉴딜 정책을 통해 청년들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인 만큼 이바구캠프의 사례가 하나의 롤모델로 정착될 가능성도 크다.

 박 대표는 "이러한 사업을 하다보면 대학생들이 관심이 많아 참여를 많이 하지만 결국 대부분이 도중에 떠난다"면서 "하지만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이 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외부에서 들어오더라도 그 지역에 주민이 되는 청년이 있어야된다"고 강조했다.

 이바구캠프는 주민과 전문가, 청년창업가와 행정기관이 참여하는 민간협업 거버넌스로 시작됐다. 동구 초량동 일대 노후주거지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자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초기 기획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인 주민 참여가 이뤄졌다.

 지난 2014년 관광진흥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으로 지정된 경우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업의 내국인 대상 영업이 허용되는 특례조항이 만들어졌다. 이바구캠프가 특례 조항이 적용된 첫 사례다.

 동구의 경우 숙박시설이 대부분 부산역에서 범일역 일대에 집중 돼 있다. 반면 산복도로 주거지 내 숙박시설은 부산역 일대가 한 눈에 보이는 뛰어난 조망권에도 불구하고 영세하게 운영돼 홍보도 안 되고 관광 연계 프로그램도 없어 방문객이 적었다.

이에 이바구캠프는 기획단계에서 도시 민박촌, 전망대 및 아트팩토리, 쌈지공원 조성이라는 3개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현재 산복도로의 뛰어난 조망권을 활용해 옥상전망대와 옥상 글램핑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주말이면 전망대를 이용하기 위한 방문객들로 인해 숙소가 모두 예약이 꽉찰 정도다. 민박촌 바로 뒤에는 구봉산으로 이어지는 편백나무 숲도 있어 힐링 탐방로를 이용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인 '공유를 위한 창조' 팀이 초기 기획단계서부터 적극 개입해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교육을 실시했다. 온라인 홈페이지 작성, SNS나 여행관련 카페에 소개글 올리기, 지역 언론을 통한 마케팅 등 나이가 많은 주민들이 하기 어려운 일도 담당했다.

 특히 이바구캠프의 가장 큰 특징은 협동조합형 주식회사 모델이라는 점이다. 다온산마을이라는 법인으로 만들어졌으며 31명(31가구)이 1인당 최대 20주로 한정해 동등한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이익 중 35%까지만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분배가 가능하며 주주보다 공동체 이익을 우선시하는 법인이다. 영국에서 세계최초로 도입해 2005년부터 시행됐다.

의사결정권도 평등하게 행사할 수 있다. 일일 이사제를 통해 마을 주민들이 돌아가면서 담당일 운영서류에 최종 결재권자가 된다. 매월 월 보고용으로 수익, 지출, 손익분기보고서, 활동보고서를 작성해 주민들에게 공개한다.
 
 한편 박 대표는 이바구 캠프의 시스템이 다른 마을과 공동체에도 적용됐으면 하는 생각으로 이바구 벤처 캠프도 구상 중에 있다.

 그는 "부산 안에만 이바구 캠프와 같은 거점이 100개가 넘게 있는데 잘 안되는 이유는 젊은 사람이 부족하고 마을이 고령화 됐기 때문"이라면서 "청소나 빨래는 나이가 많은 주민들도 잘하지만 상품을 기획하고 홍보하는 것은 청년들이 함께하지 않으면 힘들다"고 전했다.

 kmk@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