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도지사는 10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주경제자유구역(에코폴리스) 개발사업을 심사숙고 끝에 포기하기로 했다"고 사업 포기를 공식 선언했다.
이 지사는 "충북도는 2015년 이후 에코폴리스 분양을 위해 수십여 차례 투자 유치 설명회를 여는 등 노력했으나, 입주 희망 기업은 나타나지 않았다"며 "충북경자청 충주본부 인력은 감축하고 현 본부장 체제로 나머지 경자구역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13년 2월 청주시 오송읍(바이오폴리스)과 내수읍(에어로폴리스) 일부 지역, 충주시 중앙탑면(에코폴리스) 일부 지역 등 도내 세 곳 7.21㎢를 경자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가운데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와 장천리 일대 2.3㎢에 2567억원을 들여 추진할 계획이었던 에코폴리스 조성사업은 도의 사업 포기로 지구 지정 4년여 만에 백지화 절차를 밟게 됐다.
충주시는 도의 사업 포기 선언에 따른 이 지역의 후속 투자계획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충주시 관계자는 "도에서 지구 지정 해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권유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지구 지정이 해제되는 에코폴리스 일대에 대해선 일단 다른 투자계획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조길형 충주시장은 언론 간담회에서 "가장 나쁜 결정은 잘못된 결정보다 지연된 결정이라고 한다"며 "부득이 추진할 수 없다면 빨리 결정을 내려 지역 주민의 충격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대안을 차원 높게 모색해야 한다"고 도에서 충주에코폴리스 추진 가부를 조속히 결정할 것으로 촉구했다.
이어 30일에는 김학철·이언구·임순묵 등 충주 출신 도의원들이 "도가 에코폴리스 사업을 추진할 의지가 없다"고 비판했다.
에코폴리스는 2013년 지구 지정 당시 약 4.2㎢ 면적을 개발할 계획이었으나, 지난해 6월 개발계획 변경으로 2.3㎢로 축소됐다.
충주시는 현재 엄정면과 산척면의 북부산업단지, 서충주산업단지, 북충주나들목 일대 산업단지 등 3개 산업단지를 추진하고 있다.
ksw6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