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 관계성 발표
수면무호흡증 환자 15.3만명…남 30~40·여 50~60대
수면무호흡증 있는 환자, 급성심장정지 54% 증가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국내 수면무호흡증 발생 한자가 5년 사이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등 흡연이나 비만보다 위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질병관리청은 20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정책연구용역 '심장정지 발생원인 및 위험 요인 규명 추적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해 수면무호흡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을 당부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얕아지는 증상으로, 수면의 질을 저하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수면 중 호흡 중단, 주간 졸림증, 집중력 저하, 코골이 등이 있다.
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발생 환자는 2018년 4만5067명에서 지난해 15만3802명으로 3.4배 증가했다. 특히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수면무호흡증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까지 치솟았다. 이는 심혈관질환이 없는 젊은 연령층에서 수면무호흡증이 급성심장정지의 위험한 요인 중 하나로 해석할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위험비 2.33)은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원인인 당뇨(4.10)나 고혈압(3.63)보다 낮지만 흡연(2.19)이나 비만(1.02)보다 높았다.
질병청은 수면무호흡증의 증상, 수면무호흡증에 따른 급성심장정지 위험성, 수면무호흡증 자가진단법, 치료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카드 뉴스를 제작했다.
치료 방법으로는 ▲규칙적인 운동, 수면 자세 변화, 음주 및 흡연 제한 등 행동치료 ▲지속적 양압기, 기도개방 구강 장치 등 기구 요법 ▲비강 수술, 인두부 수술 등 수술적 치료 등이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수면무호흡증은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 그 위험성을 인식하고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관리를 통해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할 수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