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되는 윤·한 독대…재보선 텃밭 지킨 한동훈, 김건희 문제 강하게 제기할 듯

기사등록 2024/10/17 05:00:00 최종수정 2024/10/17 09:52:16

한, 김 여사 관련 인적 쇄신 등 요구할 듯

김건희 문제 독대 핵심 의제 될 듯

인식차 커 돌파구 마련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

한 측은 '독대', 대통령실은 '면담'으로 표현

제2부속실 설치 효과에도 이견…친한 "이미 늦어"

"양측 모두 절박감 가지고 당정갈등 봉합해야 "

[성남=뉴시스] 최진석 기자 = 필리핀·싱가포르 국빈방문 및 한·아세안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환영나온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10.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승재 기자 = 10·16 재·보궐 선거에서 텃밭을 지킨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다음 과제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독대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여부다. 애초에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분류되는 부산 금정과 인천 강화이지만, 그래도 수성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한 대표 목소리에 힘이 실릴 수 있다. 한 대표는 김건희 여사 문제를 풀고 가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르면 다음 주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 자리에서는 김건희 여사 문제가 핵심 의제로 올라갈 전망이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17일 뉴시스와 통화에서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 독대에서 첫 번째로 김 여사 문제에 대한 해결을 주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친한(친한동훈)계에서 김 여사 문제와 관련해 대통령실에 요구하는 것은 김 여사 라인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에 대한 인적 쇄신과 김 여사의 공개 활동 자제이다. 검찰을 향해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에 대한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론을 주문했다.

이번 독대에서는 김 여사 라인과 관련된 문제가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대통령실의 인적 쇄신을 공개 요구했고, 친한계는 대통령실 전·현직 비서관과 행정관 등을 김 여사 측근 그룹인 '한남동 라인'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윤 대통령 부부와 오랜 인연이 있거나 대선 캠프에서 신뢰를 얻은 인사들이 포함된다. 이들이 직무 범위를 넘어 부적절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게 한 대표 측의 주장이다.

대통령실은 '김 여사 라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정면 반박했다. 나아가 친윤(친윤석열)계에서는 한 대표의 측근 그룹을 싸잡아 '도곡동 7인회'라고 부르면서 반격하기도 했다. 한 대표가 자기 정치에 몰두하고, 친한계 세력화에 주력하면서 당내 분란을 조장하고 있다는 불만도 제기된다.

이처럼 양측의 인식차가 크기 때문에 윤·한 독대에서 돌파구가 마련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당장 이번 회동을 대하는 자세부터 엇갈린다. 대통령실이 한 대표의 독대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이를 '면담'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 단둘이 만나는 것이 아닌 배석자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대통령실은 영부인 업무를 전담하는 제2부속실 출범을 대안으로 거론하고 있지만, 친한계는 이것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친한계인 김종혁 최고위원은 전날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제2부속실 설치와 관련해 "그것만으로 해법이 되기는 이미 때가 많이 늦었다"고 했다. 또 "김 여사 라인이라는 분들로 채워버린다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당내에서는 재·보궐 선거도 마무리된 상황에서 이제는 당정 갈등을 봉합해야 하는 시기라는 주장이 나온다.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로 불리는 명태균씨가 지난 대선 경선 당시 김 여사와 나눈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공개하면서 여권 내 파장이 일고 있는데, 이에 대한 피로감도 상당한 분위기다. 

명씨는 계속해서 발언 수위를 높이며 추가 폭로를 예고했고, 야당은 이를 고리로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공세를 지속하는 중이다.

한 재선 의원은 통화에서 "김 여사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넘어가기 어렵고, 민주당이 추진하겠다는 특검을 막는 것도 쉽지 않다"며 "그런 절박함을 갖고 이번 독대에서 당정 갈등을 해소하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