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발점'이라고 욕해"…교원 90% "학생 문해력, 과거보다 떨어져"

기사등록 2024/10/07 11:42:05 최종수정 2024/10/07 12:34:16

"학생 5분의1, 교과서 이해도 힘들어"

"디지털 매체 과사용이 가장 큰 원인"

"학부모도 문제…안내장도 이해 못해"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사건의 시발점(始發點)을 설명하는데 학생이 '선생님이 욕했다'고 하더라고요", "이부자리가 별자리냐고 물어보는 학생도 있어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제578돌 한글날을 앞두고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를 물은 결과 91.8%는 "문해력이 과거보다 떨어졌다"고 7일 답했다.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절반 가까운 48.2%에 달했다(①5% 이하 ②6~10% ③11~20% ④21~30% ⑤31% 이상 등 오지선다).

또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도 46.6%나 됐다. 어려운 단어나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무려 67.1%였다.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30.4%,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보기도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21.4%나 됐다.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에 대해서는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이 1위로 꼽혔다. 이어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이 순위권에 올랐다. . 

교원들은 학생 문해력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는 '독서활동 강화(32.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등은 뒤를 이었다.

학생의 문해력 부족으로 겪은 당황했거나 난감했던 사례도 줄을 이었다.

주관식으로 작성한 답변에는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라고 알고 있었다", "'사건의 시발점이다'라고 했는데 왜 선생님이 욕하냐고 했다", "사기저하의 '사기'가 남을 속이는 사기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등이 있었다.

학부모의 문해력도 문제라는 답변도 종종 등장했다. 한 교사는 "너무 다양한 상황에 학부모도 연관되어 있다"며 "가장 흔한 경우는 안내장도 이해하지 못할 때"라고 했다. 또 다른 교사는 "학부모님의 문해력도 (학생에) 영향을 미친다"며 "초교 5학년 학부모가 등교를 등원, 하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교총은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 및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해당 조사는 지난달 20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됐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28%포인트(p)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nd@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