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제주 세계평화의 섬 지정에도 제도적 지원 미흡…외교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기사등록 2024/09/30 18:00:00 최종수정 2024/09/30 21:02:16

내년 세계평화의섬 지정 20년 앞두고 세미나 개최

제주포럼 공공외교 플랫폼으로 확대 활용 등 제안

"제주 주도 新사업 발굴해야…행·재정적 지원 필요"

[제주=뉴시스] 고경민 국제평화재단 사무국장은 지난 27일 오후 제주특별자치도 소통협력센터에서 내년 세계평화의 섬 지정 20주년을 앞두고 제주도청과 외교부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국제평화재단 제공) 2024.09.30. photo@newsis.com
[제주=뉴시스] 변해정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세계평화의 섬' 지정 이래 추진해온 평화실천 사업을 외교적 시각으로 확대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고경민 국제평화재단 사무국장은 지난 27일 오후 제주도 관덕로 소통협력센터에서 내년 세계평화의 섬 지정 20주년을 앞두고 제주도청과 외교부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사업 주체는 제주로 국한되나 그 내용은 국가나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의 협력 하에 제주가 주도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발굴·개발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05년 제주의 세계평화의 섬 지정을 계기로 시행된 평화실천 사업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제주특별법)'에 따른 국책사업이다. 투입된 총 예산은 2152억4800만원에 이르며 이 중 64%가 국비로 충당됐다.

그러나 남북 장관급회담 개최와 동북아 평화협력체 창설 등 제주의 역량 만으로 한계가 있는데다 사업 성격상 도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저조했다.

2020년 6월 북한의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 폭파 이후에는 사업 시행계획 수립에도 정부와의 협의 미흡으로 사실상 추진이 중단됐다.

남북관계 경색 국면이 길어지면서 북한 감귤보내기 운동 등 제주가 주도한 소규모 사업만 명맥을 겨우 이어가고 있다. 출범 초기 대통령이 참석했을 정도로 관심이 높았던 제주포럼은 행사의 격이 크게 낮아졌다. 

이에 고 국장은 제주포럼을 국가 차원의 '공공외교 플랫폼', 지역 차원의 '지방외교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고 제주가 주도하는 '글로벌 평화도시연대'를 다자·소다자 간 협의체로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고 국장은 "20주년 이후 제주의 평화실천 사업은 지방외교를 통해 평화 가치의 확산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면서 "이는 미래지향적이면서 차별화된 사업 발굴·개발과 함께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 여하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동북아학회 회장인 김형수 단국대 교수도 "정부 차원의 교류협력사업이 사실상 전면 중단된 상태에서 지방이 주도해 펼치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면서도 "제주도는 세계평화의 섬 지정에도 불구하고 실천적인 제도적 지원은 미흡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외교의 중심이 중앙 정부에서 다차원적의 행위자로 이동해가고 있고 지역 정체성에 기반을 둔 지방외교 활성화가 중요해진 시점인 만큼 세계평화의 섬이란 제주 브랜드의 자산화 및 글로벌 전략에 선행한 네트워킹과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pyu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