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21일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
알츠하이머 질환 표지자검사 2종 주목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평균 수명 연장과 노인 인구 증가로 치매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조기 진단을 통해 치매 속도를 늦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치매는 주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나타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2023년 국내 기준으로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은 10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치매 환자는 105만2977명으로 집계됐다.
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국내에서 치매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9년 55만1845명에서 2023년 67만4963명으로, 4년 동안 22.3% 증가했다.
치매는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고, 증세가 나타났을 땐 이미 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로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이하 알츠하이머병)는 치매 환자 70% 이상이 앓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 기전과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비정상적으로 뇌에 축적되는 아밀로이드-베타(amyloid-ß) 단백질과 과인산화된 타우(tau) 단백질로 구성된 신경 내 신경섬유매듭의 형성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 초기에는 기억력이 감소하고 중기에는 언어기능 및 판단력 등 여러 인지기능 이상이 동반된다. 진행 과정에서 성격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 장애 등의 정신행동 증상이 흔히 동반되며, 말기에는 보행 이상과 같은 신경학적 장애와 감염, 욕창 등 신체적 합병증까지 나타날 수 있다.
문제는 알츠하이머병은 점진적으로 악화돼 초기 발견이 어렵고, 증상이 육안으로 나타났을 땐 이미 치매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되면 뇌 손상 진행을 되돌리거나 호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치매가 더욱 나빠지기 전에 조기 진단 및 관리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되는 경우 문진을 통해 인지 및 행동수행 능력 등을 평가하고, 뇌영상진단(MRI, PET CT등)을 통해 뇌혈관 질환 여부와 뇌 위축 상태 등을 확인한다.
다만 기존 진단법인 PET C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검사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된 약물(FDG-F18)을 체내에 주입한 후 방사선 발생량을 측정하는 검사법으로, 반복된 다량의 방사선 노출이 있을 경우 발암 위험성이 있고 비용과 진단 시간이 부담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방사선 노출 없이 단 한 번의 검사로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 단백질’을 모두 검출할 수 있어 진단 소요 시간 및 비용이 합리적인 ‘알츠하이머질환 표지자 검사 2종’(CSF 검사)가 많이 쓰이고 있다.
해당 검사는 알츠하이머병이 뇌조직에 축적된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 단백질의 농도가 뇌척수액에서 변화한다는 점을 반영, 이 특징적인 농도 변화를 관찰해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한다.
안선현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치매는 환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정신적·경제적 고통을 안기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을 통한 적극적인 치료가 우선돼야 한다”며 “알츠하이머질환 표지자 검사 2종을 받아보길 권장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hee@newsis.com